[지분형 카지노 꽁 머니-①] 매입엔 '지분 투자'…임대는 '리츠'로

2025-04-28윤영숙 기자

[※편집자주: 금융위원회가 지난 3월 가계부채 관리 방안으로 지분형 카지노 꽁 머니(모기지) 정책을 꺼내 들었습니다. 금융위는 해당 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오는 6월에 발표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이에 연합인포맥스는 관련 정책이 갖는 의미와 해당 정책이 가져올 부동산 시장의 영향 등에 대해 3건의 기사로 짚어봅니다]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홍경표 기자 = 지난 3월 말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지분형 카지노 꽁 머니(모기지)을 꺼내 들면서 관련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정책금융기관인 카지노 꽁 머니공사(주금공)가 개인의 주택 매입 시 지분 투자에 나서 공동 소유하는 '지분형 모기지'를 준비하고 있다.

개인은 주금공과 카지노 꽁 머니을 공동 매입하면서 주금공의 지분에 대해서는 은행 금리보다 낮은 수준의 임차료를 내야 한다.

이는 혼자서 높은 집값을 감당하기 힘든 이들에게 부채 부담을 낮춰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집을 소유하다 매도할 경우 집값이 오르면 차익을 지분 비율대로 주금공과 나눠 갖고, 반대로 하락할 경우 손실은 주금공이 우선 부담한다. 구조를 짤 때 주금공을 후순위로 둘 계획이기 때문이다.

앞서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자기자본 10%·대출 40%·카지노 꽁 머니공사 50%' 모델을 제시한 바 있다. 이 경우 무주택자는 집값의 10%, 즉 최소한의 자기자본만 들여 주택 구입이 가능해진다.

렌트비는 일반 시중금리보다 낮은 연 2%대가 될 전망이며, 올해 하반기 총 1천호 규모의 시범 사업이 먼저 추진될 계획이다.

지원 한도는 서울은 10억원 이하, 경기도는 6억원 이하, 지방은 4억원 이하의 카지노 꽁 머니에 한해 적용될 것으로도 알려졌다. 다만 구체적인 로드맵은 오는 6월에 나올 예정이다.

지분형 모기지는 가계의 카지노 꽁 머니 구조를 대출(Debt)이 아닌 자본(Equity)으로 전환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같은 인식은 부동산 신용이 민간(개인+기업) 신용의 49.7%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오는 등 부동산 신용 집중화 문제가 심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4년 이후 부동산 신용은 연평균 100조5천원씩 급증해 2024년 말 현재 2013년 말의 2.3배인 1천932조5천억원으로 늘었다.

정부는 카지노 꽁 머니 금융의 대출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부채의 자리를 지분, 즉 자본으로 채우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민간 신용이 부동산에만 집중되면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소비와 투자가 위축돼 성장을 저해하는 것을 막겠다는 것이다.

지분형 모기지 개념도
[출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허윤경 연구위원 건설동향 브리핑 참고]

가계부채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한국은행이 제시한 한국형 뉴(new) 부동산투자회사(리츠·REITs)도 검토되고 있다.

한국형 뉴리츠는 리츠가 아파트를 공급하면 카지노 꽁 머니 수요자가 해당 리츠에 지분 투자를 한 뒤 임차인으로 거주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울의 10억 원짜리 아파트에 대해 1억 원을 투자하고, 매달 250만 원의 임대료를 지불하며 거주하게 된다.

투자자는 리츠의 수익 중 90% 이상을 배당으로 받을 수 있으며, 카지노 꽁 머니 가격 상승 시 지분 매각을 통해 시세 차익을 얻을 수 있다. 리츠가 카지노 꽁 머니을 소유하는 구조라 임차인은 무카지노 꽁 머니자 자격을 유지할 수 있고 취득세, 재산세, 양도소득세 등의 세금 부담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 25일 발표한 '부동산 신용집중의 구조적 원인과 문제점'이라는 BOK 이슈노트에서 주택 금융의 대출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주택의 구입은 '지분형 카지노 꽁 머니' 모델을, 주택임차는 '한국형 New 리츠' 모델을 활용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한국형 뉴리츠 개념도
[출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허윤경 연구위원 건설동향 브리핑 참고]

ysyoon@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4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