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시윤 기자 = 4월 들어 외국인 투자자들이 미국 국채를 더 많이 팔기 시작했다. 금리 인하를 기대하던 중산층 차입자들에게는 악재다.
22일(현지시간) 뱅크오브뉴욕멜론(BNY)의 아이플로우(iFlow) 데이터에 따르면 4월 4일 이후 11거래일 중 8일 동안 외국인의 국채 순매도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존 벨리스 BNY 거시전략가는 고객 메모에서 "이제 이러한 (달러) 자산들의 안전자산 지위 자체가 점점 더 의문시되고 있다"며 "데이터는 이 흐름을 명확히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외국인의 국채 매입이 줄어들 경우 이는 미 국채 금리 상승과 함께 연방정부뿐 아니라 중산층의 대출 비용 즉 주택·자동차 대출 등에 대한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외국인이 보유한 국채는 전체 공공 보유 국채의 약 30%로, 2008년 약 50%에 비해 크게 줄었다.
외국인의 국채 매도세는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 예상보다 훨씬 큰 '상호 관세'를 발표한 이후 본격화됐다. 약 일주일 후 국채 시장이 크게 흔들리자 트럼프 대통령은 일부 관세를 90일 유예하면서 주요 국가들과 협상 여지를 남겨뒀다.
실제로 지난 11일 외국인 시장에서 대거 이탈한 직후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장중 4.5920%까지 오르며 지난 2월 중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편 이날 미국 증시는 중국 등과의 무역 합의 기대감에 3대 주요 지수가 모두 2% 이상 급등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비공개 투자자 회의에서 중국과 관세 갈등 관련 현 상황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상황이 완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발언한 영향이다.
하지만 같은 날 미국 10년 만기 채권 금리는 4.40%로 소폭 하락한 수준에 그쳤다.
벨리스 전략가는 "트럼프 대통령의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에 대한 비판 재개로 파월 해임 시도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추측을 키웠다"며 "이런 움직임은 외국인의 국채 수요 회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syyoon@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