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오진우 기자 = 한국은행은 우리나라의 취업자 수가 2030년부터 추세적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2050년에는 총취업자 수가 2024년의 90%에 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은은 17일 '인구 및 노동시장 구조를 고려한 취업자 수 추세 전망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의 추세 취업자 수를 추정하고 이같이 진단했다.
추세 취업자는 자연실업률 수준의 유지하는 데 필요한 취업자를 의미한다. 15세 이상 인구와 경제활동참가율에 의해 결정된다.
추정 결과 우리나라의 추세 취업자는 2011년~2015년 40만명에서 2016년~2019년 19만명으로 낮아졌다가 팬데믹 이후인 2021년~2024년에는 32만명으로 증가했다.
인구 요인은 기조적으로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청년 남성의 경제활동 참가율도 지속 하락세지만, 팬데믹 이후 여성과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늘었다.
한은은 향후 추세 취업자 수는 감소 흐름을 나타내며 2030년께는 마이너스로 전환될 것으로 봤다.
한은은 "15세 이상 인구가 2033년부터 감소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그간 상승세를 보여 온 경제활동참가율도 2030년경부터는 하락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추세 취업자 수 증가 규모의 마이너스 전환은 경제가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을 이어가는 상황에서도 실제 총취업자 수가수가 줄어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은은 "이후에도 추세 취업자 수는 지속 감소해 2050년경 취업자 수 총규모는 2024년의 90% 수준에 머물 전망"이라고 우려했다.
취업자 수 감소 추세는 우리나라의 전체 국내총생산(GDP)은 물론 1인당 GDP 등 개인 후생도 악화시킬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활동참가율이 낮은 고령층 인구 비중이 확대되면서 인구 감소 폭보다 취업자 수가 더 빠르게 감소하고 이는 1인당 GDP에 마이너스 요인이 된다는 설명이다.
또 연금·의료비 지출 부담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른 조건들이 일정하다면 고령화와 경제활동 감소로 인해 연금과 의료비 지출이 2025년 현재 GDP 대비 10% 수준에서 2050년 20% 수준으로 2배가량 확대될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한은은 그런만큼 경제활동참가율 제고 등의 노력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인구 문제의 경우 이미 단기간에 해결하기 어려운 수준에 접어든 만큼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은은 은퇴 연령층의 인적 자본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계속고 용 방안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 청년층과 여성의 경제활동을 제약하는 구조적 장벽을 해소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은은 경제활동참가율이 추정한 것보다 2050년까지 4%p 높아지면 취업자 수 감소 시점이 5년 늦춰지고, 2050년 총취업자도 현재의 95%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jwoh@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