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경쟁력 정책협의회…"AI 대전환 위한 혁신 생태계 구축"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은 27일 "디지털 시대 전환과 기술 급변 시대에 혁신기업이 출현하기 위해 낡고 분절된 행정규제의 합리화를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직무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경쟁력 정책협의회에서 "국가경쟁력 제고를 통해 경제·산업 대도약을 이루기 위해서는 기업 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긴요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직무대행은 "각 부처는 행정 서비스 제공 방식에서도 주의를 기울여 주시기 바란다"며 "기업인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정부 입장을 충실히 설명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되 민원 처리가 적절하고 신속히 이뤄지도록 각 부처에서 신경써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AI)이 국가 전략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만큼 AI 대전환을 위한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고 AI 인재 양성 체계를 마련할 것"이라며 "우리의 강점인 제조업과의 시너지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관광 수입, 외국인 직접투자 등 취약 항목 개선을 위해 관광산업을 국가수출산업으로 육성하고 문화 콘텐츠의 국가 지원 체계를 확대할 것"이라며 "K-컬처의 세계 진출을 뒷받침해 이를 국가 홍보 전략과 체계적으로 연계해 나가겠다"고 했다.
아울러 "과학·기술 인프라에 대해서도 기업인의 눈높이에 맞도록 인프라 전반을 점검하고 취약 요인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국가경쟁력 정책협의회는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관계부처 차관급으로 구성된 협의체다.
이번 회의에서는 2025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분석을 토대로 향후 국가경쟁력 제고 방향을 논의했다.
지난주 발표된 IMD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69개국 중 27위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대비 7계단 하락한 순위다.
wchoi@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