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오진우 기자 = 올해 2분기 국내 기업들의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어들고, 미국의 관세 부과 여파로 수익성도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0일 공개한 '2025년 2분기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 법인기업 2만6천여 곳의 올해 2분기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0.7% 감소했다.
기업의 분기별 매출액이 줄어든 것은 지난 2023년 4분기 1.3% 감소 이후 처음이다. 지난 1분기에 2.4% 증가한 것과 비교해도 상당폭 줄었다.
제조업체의 매출은 1.7% 감소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는데, 특히 유가 하락과 설비가동률 하락에 따른 수출액 감소로 석유화학 분야의 매출은 7.8% 급감했다.
기계·전기전자의 경우 매출이 2.2% 늘기는 했지만, 지난 1분기 5.9% 증가했던 것에 비해서는 증가 폭이 둔화했다.
한은은 AI 투자 확대에 따른 고부가가치 제품군 수출이 호조세를 보였지만, 지난해 2분기 20% 이상 매출이 급증했던 기저효과가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비제조업 분야의 매출 증가율은 전년동기대비 0.3%를 기록했다. 1분기 1.9% 증가했던 것에 비해 둔화했다.
도소매 부문과 운수업 등의 매출 증가율이 둔화한 영향이다.
2분기 기업의 전기말 대비 총자산 증가율도 0.2%에 그쳤다. 2023년 4분기 0.2% 감소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기업의 수익성을 판단할 수 있는 매출액영업이익율도 악화했다.
2분기 매출액영업이익률은 5.1%로 지난해 같은 기간 6.2%보다 낮아졌다. 지난 1분기의 6.0%보다 악화했다.
제조업 영업이익률은 5.1%로 지난해 같은 기간 7.1%보다 하락했다.
자동차와 운수장비 부문의 이익률이 지난해 7.6%를 기록했던 데서 미국 관세와 판촉경쟁 심화 등으로 올해는 2.7%로 급전직하했다.
기계와 전기전자 부문 이익률도 지난해 2분기 10.2%에서 올해는 7.4%로 하락했다.
반면 비제조업 분야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2분기과 같은 5.1%를 기록했다.
재무 안정성은 전 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기업의 부채비율은 89.8%로 1분기의 89.9%와 유사했다. 차입금의존도는 26.6%로 1분기의 25%보다 소폭 올랐다.
jwoh@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