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방미 후 베선트 만남 일정 조율 중…미국 측에 요청"
"관세협상, 원칙 지키며 꿋꿋하게 대응…미국도 우리 의견 공감"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박준형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 한미 통화스와프 논의와 관련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으로부터 "우리 외환시장 상황을 이해하고 내부적으로 논의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정일영 의원의 관련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구 부총리는 "(대미 투자 금액인 3천500억달러를)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우리 외환 사정이라든지 이런 부분에 대해서 지난번 베선트 장관을 만났을 때 충분히 설득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방미 기간에 베선트 장관을 만날 것인지 묻는 말에는 "현재 조율 중"이라며 "미국 측에 요청을 해놓은 상황"이라고 답변했다.
구 부총리는 오는 15일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참석을 위해 미국 워싱턴 DC로 출국할 예정이다.
구 부총리는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빨리 결론을 내리는 게 필요하다"며 "산업통상부 장관이나 저나 계속 미국 측에 저희들 상황을 설명하고 이해도 구하고 있고, 미국 측에서는 일정 부분 한국 상황을 이해한다는 메시지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익 우선 그리고 실용에 입각한 타결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이 5천500억달러 중 실제 대미 투자액은 1~2%에 불과하다고 발언한 것이 이면합의를 뜻하는 것이냐는 민주당 진성준 의원의 질의에는 "언론을 통해 봤다"며 "일본에서는 공식적으로 저희들한테 그런 정보 제공은 없었다"고 답했다.
같은 당 김영진 의원이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에서도 관련 논의가 없었냐고 묻자 구 부총리는 "네"라고 짧게 답했다.
구 부총리는 "일본이 어떻게 했든 상관없이 국인 관점이나 한국의 사정,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미국과 계속 얘기하고 있다"며 "미국도 진정성 있는 의견 개진에 상당 부분 공감하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미국과의 관세협상 과정에서 원칙을 지킬 필요가 있다는 김 의원의 지적에도 "강하게 원칙을 지키고 꿋꿋하게 대응할 계획"이라고 했다.
자동차, 반도체, 철강 등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에는 "1차적으로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며 "철강 같은 경우 유럽연합(EU)에서 관세를 또 부과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할 수 있는 최대한 범위 내에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관세협상 과정이 국민에게 보고될 필요가 있다는 진 의원의 지적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관세협상은 국익 최우선, 상업적 합리성이 있는 사업, 호혜성, 외환시장 영향 최소화라는 확고한 원칙이 있고 비밀주의는 없다"고 했다.
구 부총리는 이어 "어느 정도 협상이 되고 나면 국민들께, 그리고 국회에도 소상히 보고드리겠다"며 "현재는 저희들이 설명을 하고 왔다갔다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지켜봐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이 외환보유액을 줄이지 않는 범위에서 조달 가능한 외화가 연간 150억~200억달러라고 분석한 결과에 대한 의견을 묻는 민주당 안도걸 의원의 질문에는 "한은의 의견에 공감한다"고 답변했다.
wchoi@yna.co.kr
jhpark6@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