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부터 영업이익 개념 바뀐다"

(서울=연합인포맥스) 서영태 기자 = 오는 2027년부터 적용될 IFRS(국제회계기준) 18에 제도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영업이익 개념이 바뀌며 투자자 혼란이 커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29일 '자본시장연구원 이슈브리핑'에서 ▲경상적 영업성과 정보의 명확한 전달 ▲비경상 손익 항목 공백기의 최소화 ▲실질적 영업성과 정보 공시 활성화 유인 등 IFRS 18에 대응할 제도적 과제를 제시했다.

IFRS 18 도입으로 기업 실적을 판단하는 영업이익 기준이 달라져 오는 2027년부터는 주식 투자자 의사결정에 혼란이 예상된다.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는 손익을 영업·투자·재무로 구분하고, 투자·재무에 속하지 않는 잔여 항목을 영업이익으로 정의하기로 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는 주된 영업활동의 판단에 기초한 기존 K-IFRS(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영업이익과 금액 및 성격이 모두 달라 투자자 의사결정에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예컨대 기업의 부동산 처분 같은 대규모 1회성 손익 항목이 영업이익에 포함되면 투자자가 지속적·경상적 성과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IFRS 18은 잔여 접근 방식에 따라 다수의 1회성 손익 항목을 영업이익에 포함한다.

또한 이 연구위원은 한국 시장 특성상 정보환경이 제한적이라 투자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코스피200 기업 중 경영진이 기업의 실질적인 성과 측정치를 자체적으로 정의해 자율 공시하는 기업 비중은 4%에 불과하다. 코스피·코스닥 전체에서 재무 분석가 2인 이상이 영업이익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기업 비중도 13% 수준이다.

이 연구위원은 경상적 영업성과 정보가 명확히 전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IFRS 18 적용 이후에도 투자자가 기업의 지속적·경상적 성과를 직관적·일관적으로 이해하도록 경상 영업성과 정보를 명확한 기준과 방식에 따라 식별·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비경상 손익 항목도 자주 공시돼야 한다고 주장한 이 연구위원은 "정기보고서 공시 이전에도 주요 비경상 손익 항목이 투자자에게 시의적절하게 전달되도록 거래소 실적 공시 양식을 구조화·세분화하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실질적 영업성과 정보의 공시를 활성화할 유인책도 필요하다.

이 연구위원은 "경영진이 기업의 실질적인 영업성과 측정치를 고안해 투자자에게 신뢰성 있고 일관되게 제공하도록 '경영진이 정의한 성과 측정치(MPM)'의 공시 확산을 위한 정책적 유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ytseo@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4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흥국운용, 수익률 1위 '흥국 중기국공채 펀드' 일반투자자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