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손지현 기자 = 한국은행이 올해 하반기에도 소비자물가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미국 관세정책과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 등에 따른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있다고 우려했다.

한은은 18일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서 "올해 하반기중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상승률은 모두 1%대 후반 수준에서 안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한은은 최근 들어 중동지역 지정학적 갈등 고조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이 물가 상방요인으로 부각된 점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물가 전망경로상 미국 관세정책의 전개양상과 내수 회복속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도 존재한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한은은 팬데믹 이후 고인플레이션기를 거치며 물가 수준 자체가 높아진 상황이 가계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최근 가공식품 등 필수재 가격이 인상되면서 취약계층의 체감물가가 높다"며 "특히, 가공식품과 외식물가는 생산비용 상승이 가격에 장기간 전가되면서 취약계층의 부담이 계속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더 나아가 수도권 집값 상승도 수도권 가계의 주거비 부담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꼽았다.

한은은 "물가수준, 부동산 시장 양극화와 같은 문제는 구조적인 성격이 커 통화정책만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며 "공급여력 확충, 유통구조 개선 등 구조개혁을 통해 근본적인 물가안정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jhson1@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4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