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올해 하반기에 우리나라 산업 중에서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조선, 제약·바이오 업종이 긍정적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6일 내놓은 '2025년 하반기 산업기상도 전망 조사 결과'를 보면, 총 11개 업종 중 4개 업종이 '좋음'을 뜻하는 '대체로 맑음' 기상도로 표현됐다. 업종 협·단체들이 바라보는 하반기 전망을 나타낸 것이다. 대한상의는 이들 4개 업종의 머리글자를 따 B.T.S.(Bio, Tech(Semiconductor, Display), Shipbuilding)라고 칭했다.

반도체 산업은 국가별 AI(인공지능) 인프라 구축 경쟁과 빅테크 중심의 AI 서버 투자 지속에 따라 HBM(고대역폭메모리) 등의 견조한 수출이 예상됐다. 디스플레이는 AI용 저전력 디스플레이(LTPO, 저온다결정산화물)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폰 출시로 하반기 수출이 전년보다 6.5% 증가할 것으로 점쳤다.
조선업은 미국을 우군으로 꼽았다. 미국 LNG(액화천연가스) 프로젝트를 통한 LNG선 추가 발주 기대감과 새 정부 공약인 조선업 미래 발전 5대 전략(스마트 미래 선박 시장 선점 등)에 따른 글로벌 경쟁력 확보 가능성이 호재로 분류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조선업 재건 의지 표명과 의회의 존스법 폐지법안 발의 등도 기대할 만한 요인이다.
제약·바이오산업은 하반기에도 미국 약가 인하 정책 및 미국·EU(유럽연합)·캐나다의 바이오시밀러 허가완화 정책 추진 등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새 정부 공약인 '바이오 특화 펀드'에 대한 기대감도 있었다.
나머지 업종은 모두 '흐림'으로 예보됐다. 미국의 관세 부과와 중국과의 출혈 경쟁, 국내외 경기 불안 등이 발목을 잡을 것으로 협·단체들은 판단했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미국의 관세정책, 중국의 저가공세 등 국내 주요 산업의 대내외 여건이 어렵지만, 새 정부의 경기부양 노력에 거는 기대도 큰 하반기"라며 "파격적인 규제개혁을 통해 여러 가지 시도를 하고 이를 통해 한국 사회의 해묵은 숙제도 해결하는 지혜가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