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절반 베트남서 생산…美-인도 협상 결과도 관심
(서울=연합인포맥스) 김학성 기자 =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최대 생산국인 베트남이 미국과 새로운 관세 협정을 체결했다.
미국은 베트남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율을 앞서 발표한 46%에서 20%로 낮췄는데, 삼성전자로서는 나쁘지 않은 결과라는 평가가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방금 베트남과 관세 협정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으로 들어오는 베트남 수입품에 20% 관세를 부과하고, 환적 상품에는 40%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설명했다. 관세율을 지난 4월 초 발표한 46%에서 절반 이하로 조정한 셈이다.
베트남은 삼성전자[005930]의 전체 스마트폰 생산량(작년 약 1억9천350만대)에서 약 5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다. 특히 미국 수출 물량은 대부분 베트남에서 담당하고 있다.
iM증권은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이 대대적인 관세 부과를 발표한 직후 베트남 관세 46%가 소비자에게 전가되지 않는 극단적 가정에서는 삼성전자의 매출총이익이 5조원 안팎으로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20%면 나쁘지 않은 수준"이라며 "다른 지역도 이와 유사하게 진행이 된다면 삼성전자에 크게 불리하지는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과 인도의 관세 협정도 관심사다. 인도는 삼성전자가 베트남 다음으로 스마트폰을 많이 생산하는 국가로, 그 비중은 20~30%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인도에 26%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며, 아직 새로운 합의는 나오지 않은 상태다.
삼성전자는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오는 8일(현지시간)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조치가 끝나 실제로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삼성전자가 해외 스마트폰 생산 기지를 대대적으로 옮길 가능성은 작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공급망 전환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으며 상당한 노력과 자본, 시간이 필요하다"며 "중국, 인도, 베트남 같은 국가들은 현재의 역량을 구축하는 데 수십 년이 걸렸다"고 짚었다.
산업연구원도 "미국의 스마트폰 생산 여건이 주요 생산국에 비해 매우 취약해 미국 공장 신설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오전 9시55분 기준 거래소에서 삼성전자 주가는 2.63% 올랐다. 코스피 상승 폭(0.97%)을 상회했다.
hskim@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