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고채 231.1조 발행 계획…순증 규모 113.6조

적자국채 (PG)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박준형 기자 = 정부가 2차 추가경정예산 재원 마련을 위해 발행할 적자국채 규모가 21조1천억원으로 확대된다.

당초 정부는 19조8천억원의 국채를 추가로 발행하기로 했는데, 이보다 1조3천억원 늘어난 규모다.

4일 국회에 따르면 경기 진작과 민생 안정을 목적으로 한 31조8천억원 규모 2차 추경안이 이날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는 정부안인 30조5천억원에 비해 1조3천억원 늘어난 규모다.

세출이 늘어나는 만큼 부족한 재원을 메우기 위한 적자국채 발행 규모도 19조8천억원에서 21조1천억원으로 늘어난다.

추가적인 국고채 발행물량은 적자국채 21조1천억원에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감액분 3조원을 더한 24조1천억원이다.

국채는 국고채와 외평채, 기타 국채 등을 더한 개념이다.

결과적으로 올해 국고채 발행 규모는 1차 온라인카지노 사이트 벳무브 기준 207조1천억원에서 231조1천억원으로 확대된다.

올해 국고채 순증 규모는 113조6천억원으로, 1차 온라인카지노 사이트 벳무브 대비 24조1천억원 늘어난다.

차환발행 규모 94조원과 바이백 및 교환을 뜻하는 시장조성 발행 규모 23조5천억원은 올해 본예산과 동일하다.

┌─────────────────────────────────────┐

││

├─────┬───────┬────┬─────────┬────────┤

│구분(조원)│2025년 본예산 │1차 온라인카지노 사이트 벳무브│2차 온라인카지노 사이트 벳무브(정부안)│2차 온라인카지노 사이트 벳무브(최종)│

├─────┼───────┼────┼─────────┼────────┤

│발행│197.6 │207.1 │229.8 │231.1 │

├─────┼───────┼────┼─────────┼────────┤

│순증│80.0│89.5│112.3 │113.6 │

├─────┼───────┼────┼─────────┼────────┤

│만기상환│94.0│94.0│94.0│94.0│

├─────┼───────┼────┼─────────┼────────┤

│시장조성│23.5│23.5│23.5│23.5│

└─────┴───────┴────┴─────────┴────────┘

앞서 전문가들은 2차 온라인카지노 사이트 벳무브 증액에 대한 우려를 내비쳤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2차 추경 규모가 증액될 수 있다는 우려는 금리에 불확실성"이라며 "2차 추경 규모가 커질수록 8월 말에 발표되는 내년도 예산안에서 지출이 더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고 분석했다.

다만, 정부가 '3차 온라인카지노 사이트 벳무브' 계획에 대해 일단 선을 그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해석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민생회복 지원금 추가 지원 여부에 대해, "또 지급할 거냐 하는 건 그때 가봐야 안다"면서도 "재정 상황이 녹록지 않다. 일단 추가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도 지난달 20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현재 3차 온라인카지노 사이트 벳무브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이번 온라인카지노 사이트 벳무브으로 정부의 재정 건전성 지표는 더욱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올해 총지출은 703조3천억원으로 1차 온라인카지노 사이트 벳무브 대비 16조2천억원 늘어난다. 전년 대비로는 7.1% 증가한 규모다.

총수입은 652조8천억원에서 642조4천억원으로 줄어든다. 세수 부족분을 고려해 10조3천억원 규모의 세입 경정을 반영한 결과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은 1차 온라인카지노 사이트 벳무브 기준 3.3%에서 4.2%로 0.9%포인트(p) 상승할 전망이다.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도 48.4%에서 49.1%로 0.7%p 올라간다. 또 올해 말 국가채무는 1천301조9천억원까지 불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wchoi@yna.co.kr

jhpark6@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22시 5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