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손지현 기자 = 2차 추가경정예산안 증액 규모가 1조3천억원 수준에 그치고, 재원 조달을 위한 적자국채 규모도 1조3천억원 증가에 그치면서 서울채권시장도 안도하고 있다.
주요 상임위원회의 추경 심사를 거치며 9조5천억원이나 증액되면서 대규모 적자국채 추가 발행이 이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컸지만, 결국 예산결산소위원회와 예산결산위원회 전체회의를 거치면서 조정폭이 1조3천억원에 그쳐 국채 물량 확대에 대한 부담도 대폭 완화됐기 때문이다.
국회는 4일 오후 본회의를 열어 정부 원안보다 1조3천억원 증액된 31조8천억원 규모의 추경안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적자국채 발행 규모는 기존 19조8천억원에서 1조3천억원 더 늘어난 21조1천억원 규모로 확정됐다.
시장에서는 이번주 중후반 내내 시장을 짓눌렀던 추경 증액 관련 우려가 해소되면서 시장 심리도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채권시장의 A 참여자는 "9조5천억원 수준으로 증액될 가능성이 불거졌지만, 이보다 대폭 줄면서 시장에 안도감을 준다"고 말했다.
그는 "이미 정부 원안에서의 19조8천억원 규모의 적자국채는 시장에 반영된 바 있다"며 "이후 추가적인 1조3천억원 규모의 적자국채 물량은 시장에 크게 부담되는 수준이 아니다"고 언급했다.
B 참여자는 "1조3천억원의 적자국채라면 올해 매월 4천억원 정도씩 더 늘어나는 수준"이라며 "이에 따른 시장 영향력은 미미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 나아가 6월 대선 이후 8월 말에 발표될 내년도 예산안이 대폭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기된 바 있는데, 이번 추경의 편성 및 처리 과정을 감안하면 우려가 다소 잠잠해질 수 있다는 시각도 나왔다.
B 참여자는 "이번 추경을 지켜보면서 이재명 정부가 우려보다 과도한 확장적 재정정책을 펴지는 않겠구나 하는 인식이 시장에 퍼질 수 있지 않을까 싶다"며 "커브 플래트닝 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C 참여자는 "전일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재정상황이 녹록지 않다고 발언하면서, 재정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었다"며 "우려보다는 균형감을 갖추고 있다고 봐야겠다"고 언급했다.

jhson1@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