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우리나라 무역업계의 인공지능(AI) 도입이 절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AI는 주로 마케팅·브랜딩에 활용하는 상황으로 분석됐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9일 내놓은 'AI 시대가 이끄는 한국 주력 수출 산업 변화' 보고서를 보면, 국내 무역업계는 효율성 향상을 위해 AI 도입이 필요하냐는 설문에 78.0%가 그렇다고 답했다. 응답 기업 중 16.9%만이 AI를 능동적으로 업무 수행에 활용했다.

무역 기업들은 주로 마케팅 및 브랜딩(21.9%/복수응답)에 AI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및 서비스 기획/개발(19.7%/복수응답)에서도 AI의 도움을 받고 있었다.

생산, 재무, 인사 등 핵심 운영 분야에서의 활용률은 모두 10% 미만에 그쳤다. 신뢰성이 활용 제한의 주된 우려 요인으로 지목됐다.

무역업계 AI 활용 분야 및 우려 요인
[출처: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AI 도입에 있어 걸림돌은 비용 부담(26.1%/복수응답)이 1위로 꼽혔다. 전문인력 부족(25.4%/복수응답)도 많이 거론됐다.

보고서는 우리 수출 주력 산업 분야가 AI로 인해 구조가 빠르게 바뀌고 있어 AI 내재화 여부가 수출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리나라가 제조업 경쟁력이 높아 방대한 데이터를 갖고 있지만, 산업 AI에 활용할 수 있는 정제된 데이터 및 연계 인프라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강성은 무협 수석연구원은 "AI는 수출 산업의 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며 "특히 중소·중견 기업들이 제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업 AI를 효과적으로 내재화할 수 있도록 민관이 협력하여 궁극적으로는 '소버린(Sovereign) AI'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