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6월 주택사업자들의 경기 전망이 대통령 선거 공약 등에 대한 기대에 지방을 중심으로 개선됐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6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전월 대비 3.9p 상승한 93.5로 나타났다고 17일 발표했다.

수도권은 6.1p 하락한 98.3으로 전망됐으나, 비수도권은 6.1p 상승한 92.5로 전망됐다.

서울은 10.4p(116.6→106.2), 경기는 7.2p(100.0→92.8), 인천은 0.8p(96.6→95.8) 떨어졌다.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경기를 낙관적으로 내다보는 업체 비율이 더 많다는 의미다. 100을 밑돌면 반대다.

수도권은 기준치인 전달에 100을 웃돌던 데서 100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7월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시행 예정인 스트레스 총부채상환비율(DSR) 3단계 도입 확정으로 주택수요 위축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서울은 10.4p 하락했으나 여전히 기준치 100을 웃돈 106.2로 전망됐다.

주산연은 "4월 들어 주담대 금리가 3%대로 진입한 데다 '똘똘한 한 채' 수요가 서울을 중심으로 집중되면서 사업자 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이라며 "다만 상승 흐름과 속도는 지역 간 차이가 있어 이달 수치는 소폭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비수도권은 평균 6.1p 상승하여 92.5를 기록했다.

광역시는 대전 31.9p(76.4→108.3), 울산 13.4p(86.6→100.0), 세종 4.3p(118.7→123.0) 등이 올랐고, 경북 30.8p(69.2→100.0), 전남 22.2p(66.6→88.8), 강원 13.3p(70.0→83.3), 충남 7.7p(92.3→100.0), 제주 6.7p(83.3→90.0) 등도 상승했다.

다만, 광주 14.1p(94.1→80.0), 부산 13.0p(86.3→73.3), 충북 12.5p(100.0→87.5), 경남 2.8p(91.6→88.8), 전북 2.8p(91.6→88.8) 등은 하락했다.

주산연은 "지방 대출 규제 완화와 함께 새 정부의 지방 미분양 해소 대책 마련에 대한 기대감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면서 비수도권은 지수가 상승했다"고 말했다.

주산연은 "새 정부 집권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추경을 통한 내수 진작, 코스피 상승 등으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가 형성되고 있어 앞으로 지수가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6월 전국 자금조달지수는 전월 대비 1.0p 상승한 80.3으로 전망됐고, 자재수급지수는 1.7p 상승한 97.9로 전망됐다.

최근의 대출금리 하락추세와 금융감독원의 부실 부동산프로젝트(PF) 정리에 따라 신규 대출 공급 여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됐다.

자재수급 지수가 오른 것은 달러 환율 하락에 따른 수입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자재수급 여건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추이
[출처: 주택산업연구원]

ysyoon@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