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에 답변하는 윤희숙 혁신위원장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10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제1차 혁신위원회 회의 결과 브리핑을 마친 뒤 나오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7.10 kjhpress@yna.co.kr

(서울=연합인포맥스) 온다예 기자 =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중앙당 지도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현행 최고위원회의 체제를 폐지하고 '중앙당무위' 체제로의 전환을 제안했다.

국민의힘 혁신위원인 호준석 당 대변인은 11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당대표 단일 지도체제를 채택한다는 게 결론"이라며 이같은 내용의 혁신위 회의 결과를 발표했다.

그는 "당 구조 혁신의 큰 방향은 당원 중심 구조로 전환, 중앙당 지도체제 강화"라며 "중앙당의 지도 체제 리더십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봉숭아 학당은 이제 없다. 민심 학당이 될 것"이라며 "이기는 정당, 정책 역량을 쌓고 강화할 수 있는 정당, 잘 싸울 수 있는 정당이 되기 위해 리더십이 확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민의힘은 단일지도체제는 유지하되 최고위원 제도는 폐지하고 당 청년위원장과 여성위원장 등이 참여하는 '중앙당무회의'를 신설할 방침이다.

호 대변인은 "이전투구하는 모습으로 비친 애매했던 혼합형 지도체제를 끝낼 것"이라며 "당 대표가 확고한 리더십을 가지고 정책역량을 쌓고 잘 싸우고 이기는 정당으로 가는 체제를 채택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고위 회의 대신 중앙당무회의가 매주 2차례 열리고 당 대표,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사무총장, 수석대변인, 청년위원장, 여성위원장, 그리고 당 대표가 지명하는 원외당협위원장 2명 총 9명이 당무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전국민심회의를 신설하고 전당원 투표를 통해 뽑힌 17개 시도당 대표들이 일주일에 한번씩 모여 회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이들은 전국민심회의 의장인 당 대표에게 지역 민심을 전달해 견제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전국민심회의는 당헌 제23조에 규정된 상임전국위원회 기능을 행사하게 된다.

호 대변인은 "당헌 안을 작성하고, 당규를 제정·개정할 수 있다"며 "전당대회 소집을 요구할 수 있고, 중앙당무위 회의 소집을 요구할 수 있다"고 했다.

혁신위는 각 시·도당이 대표뿐만 아니라 5~10명의 최고위원도 선출하게 해 현장 정치를 강화할 방침이다. 또 지방선거 공천권을 포함해 예산·인력을 대폭 확대하고 중앙당 권한을 일부 이양하겠다고 했다.

비례대표 후보 공천과 관련해서는 당세가 약한 취약지역과 청년에 대한 할당을 크게 늘리고, 지역별 당원 투표를 통해 결정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혁신위는 비대위 의결을 마치는대로 당헌·당규 개정 등 필요한 절차를 거쳐, 8월 전당대회에서 선출되는 새 지도부부터 혁신안을 적용하겠다는 입장이다.

dy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7시 4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국힘 "네이버 출신 발탁 도를 넘었다…편파성 의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