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슬기 기자 = 한미 양국이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관세 협상에 전격 합의한 것과 관련, 한국수출입은행은 "향후 대미 투자사업이 구체화될 경우 정부와 잘 협의해 지원할 예정"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수은은 31일 기자단 공지를 통해 "대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 양국 정부 공식 발표 사항 이외 구체적으로 듣거나 검토 중인 바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한국과의 무역 협상을 타결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한국에 적용되는 관세율은 15%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이 "향후 2주 내"로 백악관을 방문해 정상회담을 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한국은 3천500억달러의 대미 투자를 위한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으며, 여기에는 선박 건조, MRO(유지·보수·정비), 조선 기자재 등에 쓰일 1천500억달러 규모의 조선 협력 전용 펀드가 포함된다. 나머지 2천억달러는 반도체·원전·이차전지·바이오 분야에 대한 투자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천억달러 펀드의 구체적 형태에 대해서 "대출과 무역보험공사와 수출입은행 등 보증에 들어가는 돈이 가장 많을 것으로 보이고, 직접투자의 비중은 매우 낮을 것"이라며 "2천억 달러라는 규모 역시 '한도' 개념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미국에 투자하는 우리나라 조선 업체에 대출 및 보증 지원을 늘리기 위한 조치로 수은에 대한 조 단위 증자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최근 수은에 대해 지속적인 현물출자 등을 통해 수은의 자본금을 꾸준히 확충해왔다.
2014~2022년에 총 5조 5천억 원이 출자됐고 2023년 이후 4조 1천억 원의 추가 출자가 단행됐다.
수은 역시 자본금을 2030년까지 7조 원 수준으로 늘려야 한다는 내부 목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gyo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