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강남·용산 신고가 거래 비중 절반 넘어

(서울=연합인포맥스) 주동일 기자 =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에서 신고가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최근 3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직방은 국토교통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7월에 이뤄진 거래 3천946건 중 932건이 신고가로 집계돼 전체의 23.6%를 차지했다고 8일 밝혔다.
신고가 거래가 차지한 비중은 지난 6월(22.9%)보다 컸다. 2022년 7월(27.9%) 이후 3년 만에 가장 많았다.
전체적인 거래 감소도 신고가 거래 비중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6·27 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 6억원 제한, 소유권 이전 전 전세대출 금지 등 강도 높은 규제가 이어지면서 7월 거래량(3천946건)은 6월(1만935건)의 36% 수준으로 줄었다.
거래량이 전반적으로 급감했지만 일부 거래는 가격 강세를 유지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12억원 초과~20억원 미만대의 경우 맞벌이 고소득층 등이나 갈아타기 수요 등 자산 여력이 있는 수요자가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서며 성북구, 동작구, 성동구, 마포구 위주로 신고가 경신이 발생했다.
30억원 초과 구간도 전체 거래의 20%를 차지했다. 핵심 입지의 희소성과 상징성, 제한적인 신규 공급, 불안정한 대체 투자처 등이 맞물려 규제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매수세가 이어졌다.
반면 9억원 이하 구간은 전체의 18%에 그치며 신고가 비중이 다소 낮았다.
대출규제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는 가격대인 만큼 거래가 위축되고 매수자와 매도자간 가격 간극으로 인해 신고가 경신보다는 조정 거래가 더 많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자치구별로는 서초구(61.5%), 용산구(59.5%), 강남구(51.6%)가 전체 거래의 절반 이상이 신고가로 거래됐다.
6·27 대책 이후 토지거래허가제를 거쳐 체결된 계약들이 7월 통계에 반영되면서 강남권을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 비중이 오른 것으로 해석됐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지난 7일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하며 수도권 공급 조기화와 도심 정비사업 활성화를 전면에 내세웠다.
2030년까지 수도권 135만호를 착공 기준으로 관리하고 공공택지 속도 제고와 노후 임대주택·공공청사 재건축, 유휴부지 활용, 1기 신도시 정비 개선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diju@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