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박경은 기자 =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20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특정 정치인의 행보에 따라 주가가 급등락하는 정치테마주 과열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이에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는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풍문에 따른 추종 매매를 자제해달라는 메시지를 냈다.

금감원과 한국거래소는 지난 13일 2차 실무회의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는 조사 관계기관 간 협업체계 구축 방안과 정치테마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두 기관은 정치테마주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한국거래소는 사전적 예방조치를 강화해 과도한 주가 상승을 방지하고, 금감원은 적시성 있는 조사와 무관용 조치로 불공정 거래를 근절한다.

정치테마주 관련 종목은 대부분 자산 규모가 영세하며 수익성이 낮은 중·소형주다. 평균 영업이익률은 1% 수준에 불과한 데 비해 주가순자산비율(PBR)은 2.3 배까지 상승한 상황이다. 일간 변동성 역시 시장 평균의 3배에 달한다.

현재 금감원이 선별한 정치테마주 60종목 중 3분의 2 이상은 주가가 고점 대비 30% 이상 하락했다. 금감원은 현재의 과열 양상을 일시적 비정상 상태로 규정했다.

정치테마주의 개인투자자 비중은 86.9%에 달한다. 시장 전체의 개인투자자 비중(66.6%)보다 월등히 높은 상황이다. 금감원이 최근 1개월간 개인의 정치테마주 매매차익을 분석한 결과, 42종목에서 손실이 발생했다.

금감원과 거래소는 소셜미디어(SNS) 및 증권 사이트 게시판에서 정치인 관련 허위 풍문을 유포해 일반투자자의 추종 매매를 부추기는 행위, 고가 매수 및 연속적인 단수 주문 등 이상 매매를 집중적으로 감시한다.

또한 한국거래소는 시장경보종목 지정, 조회공시 요구 등을 통해 과도한 주가 상승을 막고, 정치테마주 대상 시장교란 행위에 대한 기획 감시를 실시한다. 불공정거래 의심 계좌에 대해서도 최우선으로 심리를 실시한다.

금감원은 "정치 테마주는 풍문과 투기적 수요에 따라 그 가치가 실제보다 부풀려진 경우가 많으므로 투자자들의 신중한 투자 판단을 당부한다"며 "풍문을 생성, 유포하는 행위만으로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하여 과징금 등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출처 : 금융감독원]

gepark@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4시 3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