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협, 채권포럼 개최

(서울=연합인포맥스) 서영태 기자 = 한국금융투자협회가 올해 하반기 채권 및 크레딧 시장 전망과 투자전략을 모색하는 채권포럼을 26일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 신얼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2025년 하반기 채권시장 전망과 투자전략'을 통해 국내 채권시장이 하반기에 강보합세 국면일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경기 하강 압력 확대에 의한 기준금리 인하 국면에 있으며, 견조한 채권 매매 수요 역시 시장금리의 하방 압력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새 정부 출범에 따른 2차 추경안, 추후 발표될 2026년 예산안 등 재정정책발 수급 부담감은 국내 채권시장의 변동성 요인으로 지속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신 연구원은 "하반기 채권시장의 3대 이슈로는 국고채 시장 수급 변동성,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및 안보 정책 추진에 따른 매크로 불확실성, 한미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를 좌우할 불확실성(주택시장, 신용 레버리지, 외환 등)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는 가능하나, 금융안정 요인에 유의하면서 투자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김상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2025년 하반기 크레딧시장 전망과 투자전략'을 발표했는데 "하반기 풍부한 시중 유동성 여건이 지속되겠지만 초우량물 수급 부담, 신용채권의 절대적/상대적인 가격(금리) 부담 지속, 본격적인 관세협상에 따른 변동성 확대 등이 작용하면서 신용스프레드는 점진적이나마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상반기에 발생한 홈플러스 사태, 롯데손보 후순위채 미상환 이슈 등으로 인해 하위 등급 채권에 대한 투자심리가 아직 개선되지 못하고 있으며 그 결과 상하위 등급 간 양극화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 연구원은 "특히 하위 등급 중에서도 BBB등급 이하 채권의 경우 2024년과 비교하여 발행여건이 악화됐는데, 주된 배경으로는 작년 말 하이일드펀드의 세제혜택이 종료된 점을 들 수 있다"며 "비우량 회사채시장 활성화를 위하여 하이일드펀드에 대한 분리과세 세제혜택이 재도입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ytseo@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6시 4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