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중한 접근' 강조할지 주목…일단 미·중 갈등 지켜봐야
13일 '콜럼버스의 날' 휴장…지표 부재에 '베이지북' 관심 커질 듯
(서울=연합인포맥스) 김성진 기자 = 이번 주(13~17일) 뉴욕 채권시장은 우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시 불을 지핀 미·중 무역갈등에 촉각을 기울일 것으로 예상된다.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한동안 소강상태를 보였던 양국 간 갈등이 고조된다면 이는 경기 하방 위험을 부채질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한국 온라인카지노 채권시장은 13일은 '콜럼버스의 날'로 휴장한다. 따라서 미국 국채의 관련 이슈에 대한 반응을 체크하는 데 하루의 공백 기간이 불가피하게 됐다.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 고위 관계자들은 토요일인 18일부터는 통화정책 발언을 삼가는 '침묵 기간'(blackout period)에 들어간다. 이번 주는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28~29일) 전에 연준 당국자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인 셈이다.
때마침 제롬 한국 온라인카지노 의장이 모습을 드러낸다. 한국 온라인카지노 의장은 14일 전미실물경제협회(NABE) 연례 회의에서 '경제전망과 통화정책'을 주제로 연설한다.
이번 연설의 논조를 보면 이달 추가 금리 인하가 확실한지를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온라인카지노 의장이 연설에서 '신중한 접근'을 강조한다면 이는 연내 두 차례 인하에 대한 기대를 낮추는 요인이 될 수 있다.
◇ 지난주 금리 동향
연합인포맥스의 해외금리(화면번호 6533)에 따르면 지난 10일(이하 현지시간)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전주대비 8.90bp 내린 4.0320%를 나타냈다. 2주 연속 하락했다.
연준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수익률은 3.5040%로 7.40bp 낮아졌다. 만기가 가장 긴 30년물 수익률은 4.6200%로 전주대비 9.80bp 내렸다. 2년물과 30년물 수익률도 2주째 뒷걸음질쳤다.
장기물 수익률이 단기물보다 더 크게 낮아진 가운데 10년물과 2년물 수익률의 스프레드는 52.80bp로 전주대비 1.50bp 좁혀졌다.(불 플래트닝)


마지막 거래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분노를 터뜨리면서 미 국채금리는 일제히 급락했다. 그전까지는 셧다운으로 미 정부의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연기된 탓에 대체로 방향성 없는 장세가 이어졌다.

선물시장에 반영된 연내 금리 인하폭은 49bp에 다소 못 미치는 수준으로, 전주대비 3bp 정도 확대됐다. 연내 한 번의 금리 인하는 확실하지만, 두 번 인하 가능성은 90% 중반대 정도라는 프라이싱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시장에 반영된 이달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은 90% 후반대를 나타냈다. 금리 동결 가능성은 한 자릿수 초반대에 머물렀다.
◇ 이번 주 전망
지난주 막판 미·중 갈등 재료가 촉발되자 미 국채금리는 일제히 급락세로 반응했다. 당장은 미 국채가 안전자산 역할을 톡톡히 한 셈이다.
하지만 지난 4월 상호관세 충격 이후 미 국채의 안전자산 지위에 대한 의구심은 잊을 만하면 다시 고개를 들곤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계속 강경한 태도를 고수할 때도 미 국채가 강세를 이어갈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
셧다운이 조속히 해결될 조짐이 없기 때문에 이번 주에도 경제지표 '깜깜이' 상태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소매판매와 생산자물가지수(PPI, 각각 16일) 및 산업생산(17일) 등 경제지표는 모두 발표가 안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연준의 경기평가 보고서인 '베이지북'(15일)은 평소보다 더 큰 관심을 받을 수 있다. 베이지북은 한국 온라인카지노 의장이 자주 예찬한 자료이기도 하다.
셧다운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경제지표로는 전미자영업연맹(NFIB)의 8월 소기업 낙관지수(14일), 10월 한국 온라인카지노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15일), 10월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제조업지수와 같은 달 미국주택건설업협회(NAHB) 주택시장지수(각각 16일) 등이 있다.
연준 고위 관계자 중 시장 영향력이 큰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세 번이나 모습을 드러낸다. 월러 이사는 16일 미국외교협회(CFR)에서 '경제전망'을 주제로 연설한다. 14일과 15일에는 지급결제 및 인공지능(AI)을 주제로 마이크를 잡는다.
이 밖에 애나 폴슨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13일), 미셸 보먼 금융감독 담당 부의장(14·16일),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14일),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15일), 스티븐 마이런 이사(15·16일),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와 마이클 바 연준 이사(각각 16일),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17일) 등이 공개석상에 오른다.
sjkim@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