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13일 서울채권시장은 전일 발표된 미중 공동성명을 소화하며 글로벌 위험선호 분위기에 연동된 약세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전일 미국과 중국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고위급 회담 결과 오는 14일부터 향후 90일간 상대국에 대한 관세를 115%포인트(p) 인하하기로 합의했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대중 관세는 종전 145%에서 30%로, 중국의 대미 관세는 125%에서 10%로 낮아지게 된다. 양국은 10% 수준에서 상호관세를 유지하는 것인데, 여기에 미국은 펜타닐 관세 20%가 더해진 셈이다.

앞서 시장은 미중이 첫 고위급 회담을 통해 관세율 하향 조정이라는 큰틀의 방향성에 합의할 수도 있겠다고 기대하면서도, 실질적인 관세율 인하 조치가 곧바로 발표되기에는 이르다는 시각에 무게를 실은 바 있다.

다만 이처럼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진전을 보이면서, 그간의 글로벌 경기 둔화 프라이싱을 되돌리는 급격한 장세가 우선은 나타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선물시장에서도 오는 7월까지 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을 절반 이상으로 대폭 높여서 반영하고 있다. 내달 초 공개될 5월 고용보고서가 크게 꺾이지 않는다면, 상반기 내 동결은 기정사실화될 수 있다.

우선 간밤 미 국채 금리는 경기 둔화 우려를 축소하면서 중단기 구간 위주로 금리가 급등했다. 전 거래일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11.9bp 급등한 4.0120%, 10년물 금리는 9.1bp 상승한 4.4730%로 나타났다.

미 국채 주요 금리는 글로벌 충격파를 가했던 상호관세 발표 당시인 지난달 초순 레벨로 되돌아갔다.

달러-원 환율도 간밤 야간거래에서 20원대 급등하면서 고점을 1,426원으로 높이기도 했는데, 당분간 달러-원 눈높이가 위쪽을 향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국고채 금리는 최근 미 국채 금리의 움직임에 덜 연동되는 측면을 이어가고 있다.

5월 초 휴장 이후에도 휴장 기간 동안의 글로벌 약세를 거의 반영하지 않았고, 전일에도 아시아장에서의 미 국채 금리의 약세폭을 반의 반도 못 따라가기도 했다. 중단기 구간의 경우는 외국인의 순매수 움직임에 따라 오히려 강세를 띠기도 했다.

5월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있고, 미국과 달리 금리 인하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다보니 밀릴 타이밍에서 덜 밀리는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밀리면 사자' 움직임이 시장을 탄탄하게 떠받치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5월 금통위 이후에 최근의 글로벌 약세가 한꺼번에 반영될 수 있다는 경계감도 점차 뚜렷해질 수 있다. 특히 6월 국채선물 만기와 연동되면서 외국인이 순매수 포지션을 다소 줄이려는 움직임을 보일 수도 있다.

다만 미중 간의 이번 합의가 앞으로 90일 동안 유효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미중의 최종 합의 추이에 따라서 불확실성이 다시금 가중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시각도 나올 수 있다.

실제로 간밤 공개발언에 나선 주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도 여전히 관세의 인플레이션 영향을 경계해야 한다는 태도를 보였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뉴욕타임스(NYT)와 인터뷰에서 이번 미중 합의에 대해 주요 결정이 미래로 미뤄졌을 뿐이며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 속 경기침체)' 우려는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는 아일랜드에서 열린 행사에 나와 관세가 현재 발표된 수준에 가깝게 유지되더라도 상당한 경제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다만 이전보다 그 정도가 덜할 것이라며, 통화완화 정책을 동원할 필요성도 그만큼 줄었다고 지적했다.

관련해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앞으로 몇주 안에 더욱 완벽한 합의를 위해 미중이 다시 만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간밤 CNBC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비관세 장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90일 유예의 목적"이라며 "우리의 목표 가운데 하나는 미국 기업에 공정하게 중국을 개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개장 전 일본은행(BOJ) 의견 요약이 발표된다. 이날 밤에는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공개된다.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이 가시화될지가 관건이다.

(경제부 시장팀 기자)

jhson1@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7시 4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