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국내 제조기업들의 경기 전망이 부진한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9일 내놓은 '2025년 3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조사 결과를 보면, 국내 제조기업의 다음 분기 경기전망 BSI는 81로 집계됐다. 전 분기보다 2포인트 높아지긴 했지만, 기준치인 100에 미치지 못했다. 이로써 16분기 연속 기준치를 밑돌았다.

BSI는 설문 결과를 수치화한 통계로, 지수가 100 이상이면 해당 분기의 체감경기를 이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100 이하면 그 반대다.

수출기업 경기전망 BSI는 87, 내수기업은 79를 나타냈다. 건설경기 침체, 소비 위축 등으로 내수기업 전망이 상대적으로 더 부정적이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89)에 비해 중견기업(77)과 중소기업(81)의 전망치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업종별로는 미국 관세가 희비를 엇갈리게 했다. 관세 예외품목에 해당하는 반도체(109), 제약(109) 업종은 긍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반도체는 전 분기보다 22포인트 높아져, 1년 만에 기준치를 상회했다.

미국 관세 적용 대상인 철강, 자동차 업종은 BSI가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다. 철강(67) 업종은 대미 수출 감소와 함께 중국·일본산 철강재의 국내 유입이 늘어난 부분이 우려됐다. 자동차(76) 업종은 관세 부담으로 대미 자동차 수출이 대폭 감소해 부정적 전망이 많았다. 정유·석화와 비금속광물은 지수가 더욱 내려갔다.

이번 대한상의 조사에서 제조기업의 54.1%는 상반기 목표 매출을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응답했다. 국내외 수요가 부진했고,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분석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체감경기가 다소 개선됐으나, 관세 부담으로 대미수출 감소가 현실화되는 등 기업 부담은 여전한 상황"이라며 "새 정부 경제정책 기대감이 내수 심리에 긍정적 신호로 작용하고 있는 만큼 정부와 국회가 정책적으로 뒷받침해 하반기 경기회복 모멘텀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