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김정은 전격 회동 가능성에 "매우 적다…희박하다고 본다"
북미 정상회담 성사시 "만나는 것 자체가 모든 것의 시작"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은 27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관세협상이 최종 타결될 가능성과 관련, "현재 진행되는 것을 볼 때 이번에 바로 타결되기는 좀 어렵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오 차장은 이날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타결에 매우 가깝다'고 말한 것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어 오 차장은 "특별하게 APEC 정상회의를 목표로 두거나, 그 계기에 있는 한미 정상회담을 목표로 두고 관세 협상을 하진 않았다"며 "상업적 합리성과 한국 경제에 도움이 되는가를 보고 협상단이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는 또 한미 동맹의 현대화나 방위비 부담 등 안보 의제와 관련해서는, "그렇게 서로에게 적대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양국 간에 안보에 있어서나 동맹으로서의 관계에 대해 큰 이견이 없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APEC 방한을 계기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날 수 있다는 전망에 대해서는 "자세한 정보는 공유하기 어렵지만 그런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오 차장은 "두 분이 만날 수 있다는 얘기가 있지만, 그럴 가능성은 매우 적다, 희박하다고 본다"고 내다봤다.
다만 오 차장은 "만약에 어떤 일이 일어난다고 하면 거기에 대해 저희가 계획을 가동할 수 있지만, 현 시점에서는 구체적인 추측성 정보에 대해 계획이 있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19년 북미 회담도 30시간만에 이뤄진 거라고 한다"며 "그렇지만 그런 똑같은 것들이 지금 현재로서는 그리 크지 않다고 보지만, 만약 그런 상황이 오면 저희도 그 정도 시간 안에는 내부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역량이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될 경우 이 대통령이 동행할 의지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꼭 우리 대통령이 참석한다는 것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미 간 회담은 일단 어떤 상황이든지 만나는 것 자체가 모든 것의 시작"이라며 "북미의 만남에 꼭 한국이 참여해야 한다고 대통령이 생각하고 있진 않다"고 설명했다.
이번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일 3자 정상회담이 이뤄질 가능성에 대해선 "트럼프 대통령의 짧은 방한 기간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자체 스케줄 등을 고려하면 그 일정이 나오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오 차장은 "1박 2일 일정으로 하다 보니 경주 바깥으로 이동하는 게 물리적으로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봤다.
이번 APEC의 성과에 대해선 "세계무역 질서가 혼란스러워 경제협의체에서의 공동 선언문 도출이 쉽지만은 않다"면서도 "채택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개최국으로서 일방적인 의장 선언이나 특정 당사자를 비판하는 결과물을 낼 생각은 없다"며 "(북한 핵과 관련한 내용이) 공동 선언문에 들어가는 건 가능하지 않다"고 내다봤다.
jsjeong@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