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네이버가 엔비디아와 함께 대한민국 제조 산업의 AI 전환을 가속하기 위한 전략적 협력에 나섰다.

팀네이버는 31일 오후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간의 접견 자리에서 네이버클라우드가 엔비디아와 '피지컬 AI(Physical AI)' 플랫폼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은 "자동차의 SDV 전환이 보여주듯, AI가 실제 산업 현장과 시스템 속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AI'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AI와 클라우드 기술로 기업의 데이터 활용을 높이고,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현실 공간과 디지털 공간을 정밀하게 연결하는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네이버클라우드의 디지털 트윈·로보틱스 기술과 엔비디아의 3D 시뮬레이션 플랫폼인 '옴니버스(Omniverse)' 및 '아이작 심(Isaac Sim)'을 결합해 반도체·조선·에너지 등 주요 산업에 AI 인프라를 적용, 산업 현장의 생산성과 효율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특히 이번 협력은 네이버클라우드가 제시한 '소버린 AI 2.0' 비전의 첫 실행 단계다. 기존 소버린 AI가 자국 언어와 문화 중심의 AI 주권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면, 2.0은 이를 국가 핵심 산업과 일상 전반으로 확장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개념으로 발전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이번 협력은 산업 현장의 생산성과 안전, 효율을 끌어올리는 '피지컬 AI 시대'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하이퍼스케일 AI 인프라와 클라우드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과 로보틱스 기술을 결합해 산업 현장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내 제조 산업의 AI 혁신을 함께 이끌어가는 신뢰받는 기술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ysyo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5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