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박경은 기자 = 디지털자산 시대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본격화됐다. 조각투자 유통 플랫폼 인가에 한국거래소, 넥스트레이드, 루센트블록이 각각 컨소시엄을 꾸려 도전장을 냈다.

31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이날 마감된 조각투자 장외거래소 예비인가 신청에 총 3개 사가 참여했다.

먼저 한국거래소를 필두로 한 KDX컨소시엄(가칭)에는 키움증권, 교보증권, 카카오페이증권이 최대 주주로 참여했다.

루센트블록은 허세영 대표가 최대 주주를 맡고, 한국사우스폴벤처투자3호가 주요주주로 참여했다. 5% 이상 주주로는 하나금융그룹의 하나비욘드파이낸스펀드가 이름을 올렸다.

NXT 컨소시엄(가칭)은 넥스트레이드가 최대 주주다. 5% 이상 주주에 신청사 중 가장 많은 증권사가 참여했다. 신한투자증권, 하나증권, 한양증권, 유진투자증권이 이름을 올렸고, 뮤직카우와 아이엔에프컨설팅도 5% 이상의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

금융위는 금융감독원 및 외부평가위원회 심사를 거쳐 연내 예비인가를 최대 2곳에 내주기로 했다. 조각투자 시장이 초기 단계인 만큼, 유통플랫폼 난립으로 시장 효율성이 저해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서 인가 수에 제한을 뒀다.

금융위는 심사 시 컨소시엄 구성, 신속한 서비스 개시 역량, 중소기업 특화 증권사 참여 등 세 가지 항목에 가점을 부여하기로 했다. 다수의 증권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유통플랫폼 운영 경험과 전산시스템 테스트 이력이 있다면 유리하다.

평가를 거쳐 예비인가를 획득한 곳은, 인적·물적 요건 등을 갖춘 후 본인가를 신청한다. 영업 개시는 본인가를 받은 후다.

업계에서는 이번 인가가 단순 조각투자 시장 진입을 넘어, STO(증권형 토큰) 시장으로 향하는 초기 인프라 구축 단계라는 점에 주목한다.

gepark@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9시 32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임원꽁 머니 카지노 3 만 114명에 담긴 미래에셋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