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은별 기자 = 정부와 현대차[005380]·기아[000270]가 자동차 공급망의 탄소 감축을 위해 협력한다.
산업통상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17일 현대차·기아, 자동차 부품 협력기업 87곳,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과 함께 '자동차 공급망 탄소 감축 상생 협약식'을 개최했다.
정부와 현대차·기아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부품 협력업체의 저탄소 전환을 지원함으로써 국내 자동차 산업 전반의 탄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최근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의 탄소 규제는 기존 '사업장 단위'에서 '제품 단위'로 정교화되면서, 이에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탄소발자국이 새로운 수출 규제의 잣대로 등장하고 있다.
산업부는 올해 LG전자[066570], 포스코, LX하우시스[108670], LG화학[051910] 등 4개 공급망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내년에는 '산업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 사업'을 통해 공급망 전반으로 본격 확산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산업부와 현대차·기아가 우선 1차 협력업체의 탄소 감축 설비교체를 지원하고, 해당 1차 협력업체는 지원받은 금액만큼을 환원해 중기부와 함께 다시 2차 협력업체의 설비교체를 지원한다.
이와 같은 자동차 공급망에서의 '연쇄적 탄소 감축 효과'를 통해 민관이 함께하는 상생형 탄소 감축 지원체계가 구축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기아는 협력업체의 저탄소 전환을 지원함으로써 완성차의 탄소발자국을 낮추게 되고, 이렇게 외부 사업을 통해 확보한 배출권을 향후 배출권거래제에서 상쇄 배출권 형태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쇄 배출권이란 배출권거래제 대상기업이 배출권거래제 적용 대상 외부 영역에 투자해 확보한 감축 실적을 배출권으로 전환해 배출량 상쇄에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정부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탄소 감축 노력이 산업 공급망 전반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앞으로 전기·전자,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조선 등 다른 주력 산업으로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을 확대하면서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 역량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ebyu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