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안위, 고리1호기 해체 최종 승인…영구 정지 8년 만

12년 동안 순차적 진행…황주호 사장 "해체 산업 생태계 조성 전환점"

(서울=연합인포맥스) 유수진 기자 = 국내 최초의 상업용 원자력발전소 고리1호기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2017년 영구 정지된 지 8년만, 2021년 한국수력원자력이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 해체를 신청한 지 4년여만이다.

고리1호기 해체는 '끝'인 동시에 또 다른 '시작'이 될 전망이다. 국내 첫 원전 해체 사례로, 한국은 '원전 전(全) 주기' 관리 체계를 갖춘 나라로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을 맞게 됐다.

고리 1호기 원안위서 해체 최종 결정
[연합뉴스 자료사진]

원안위는 26일 제216회 회의를 개최하고 고리1호기 해체를 최종 승인했다고 밝혔다.

원안위는 "오늘 회의에서 한수원이 제출한 고리1호기 해체계획서를 심의·의결했다"며 "법적·기술적 요건이 충족됐다고 판단해 최종 승인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고리1호기는 본격적인 해체 절차에 들어간다. 2015년 영구 정지 결정이 내려진 정확히 10년 만이다.

고리1호기는 지난 1978년 상업 운전을 시작한 국내 최초의 원전으로, 587메가와트(MWe) 규모의 가압경수로형이다. 40년간의 운영을 마친 뒤 2017년 6월 영구 정지됐다.

이후 한수원이 2021년 5월 해체계획서를 제출했고, 규제 기관의 기술 검토와 보완 과정 등을 거쳐 이날 최종적으로 해체가 결정됐다.

한수원은 향후 12년 동안 고리1호기를 단계적으로 해체하고, 부지를 복원할 계획이다.

해체사업은 '해체 준비→주요 설비 제거→방사성폐기물 처리 및 부지 복원'의 순으로 추진된다.

한수원은 다음 달부터 터빈 건물 내 설비부터 순차적으로 해체 작업에 착수한다. 2031년 사용후핵연료를 반출한 뒤 방사성 계통에 대한 해체를 거쳐 오는 2037년 모든 작업을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방사선 안전관리와 환경보호, 지역과의 소통을 최우선 핵심 원칙으로 한다는 방침이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고리1호기 해체는 단순한 설비 철거를 넘어 국내 해체 기술 내재화와 전문인력 양성, 산업 생태계 조성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사업 과정을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지역사회와의 신뢰를 기반으로 해체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래픽] 고리1호기 해체 절차(종합)
[출처: 연합뉴스 그래픽]

sjyoo@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8시 5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