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변명섭 기자 = 트럼프 2기 행정부가 향후 달러 약세를 유도할 '마러라고 합의(Mar-a-Lago Accord)'를 내밀 가능성에 대비해야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3일 보고서를 내고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고율 관세와 달러화 약세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특히 연방준비제도 임시 이사로 지명한 스티븐 마이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위원장의 '마러라고 합의(Mar-a-Lago Accord)' 구상으로 달러-원 환율 하락이 현실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러라고 합의는 관세 부과 후 달러 약세를 유도하는 정책을 골자로 한 통화 협정으로 지난 1985년 G5(미국·일본·독일·영국·프랑스)가 공동으로 통화를 절상한 플라자합의에서 착안했다.
스티브 마이런은 지속적으로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마러라고 합의'를 추진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구원은 '마러라고 합의'가 실제 성사될 가능성은 작다고 평가하면서도 각국의 통화가치 절상은 수출경쟁력 약화와 성장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이 만약 '마러라고 합의'를 내밀거나 주요국 통화 절상을 요구할 경우, 달러-원 환율이 하락하면서 우리나라도 수출에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연구원은 내다봤다.
보고서에 따르면 달러-원 환율이 10% 하락하면 수출액은 0.25% 감소하고, 수입액은 1.3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보고서는 환율의 수준뿐 아니라 변동성에도 주목했다.
환율 변동성이 1%포인트 확대될 경우 수출물량은 1.54%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 불확실성도 증가하고 수출기업의 계약체결이 지연되면서 환 헤지 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악화해 수출물량이 축소되기 때문이다.
양지원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마러라고 합의가 아니더라도 관세 영향 최소화를 위한 주요국의 통화가치 절하를 막기 위해 미국이 통화 강세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환율 하락에 대비해 통화스와프 확대 등 외환시장 안전장치를 강화하고 수출기업의 환리스크 관리를 지원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msbyu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