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손지현 기자 = 경제활동인구 1만명 미만인 시군구가 현재 0곳에서 2042년에는 15곳으로 대폭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지역간 노동인구 불균형 확대를 막기 위해서는 청년층의 대도시 집중을 완화하는 동시에 장년층의 중소도시 유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정종우 한은 경제연구원 인구노동연구실 과장은 14일 발표한 '인구변화가 지역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에서 2022~2042년 시군구 경제활동인구 변화를 전망하고, 인구변화로 인한 시군구 간 경제활동인구 격차를 분석했다.
기존에는 광역시도 수준에서의 분석이 주를 이뤘으나 이번 연구는 시군구 단위로 좀 더 세밀한 분석을 진행했다.
정 과장은 앞으로 점차 인구변화로 인해 시군구 간 경제활동인구 격차가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장래 인구이동 및 경제활동참가율에 대한 시나리오 분석 결과, 전반적인 시군구 간 인구이동의 균등화가 앞으로의 시군구 간 노동인구 불균등 증가 추이를 완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청년층의 대도시로의 인구이동이 줄어들면 경제활동인구 불균등 추세가 완화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장년층의 중소도시로의 인구이동이 감소하는 경우는 불균등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를 기반으로 청년층의 대도시 집중을 막는 것이 어렵다면, 장년층이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나 농촌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강화하는 정책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 과장은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 입장에서는 장년 인력은 청년에 비해 선호도가 떨어지는 유형의 인력일 수 있다"며 "다만 청년에 비해 지방 유치 가능성이 높은 인력인 것도 사실이다"고 말했다.
그는 "장년층 경제활동참가율이 비교적 높고 증가하는 추이를 보인다는 사실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지역 거점도시 육성으로 청년층이 지방에서도 경제적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한다면 현재의 지역 간 청년 인구이동 차이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현재 장년 인구를 대상으로 경제적 유인책 제공, 복지·의료 서비스 강화 등으로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로 이동을 장려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jhson1@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