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자본 킥스는 보험사의 자본이나 이익잉여금 등 기본자본만으로 지급여력비율(킥스·K-ICS)을 산출하는 제도다.
최근 킥스 제도 도입 이후 계리적 가정 변경과 금리 하락으로 인해 보험사들의 자본 여력이 하락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보험사들이 킥스 비율 제고를 위해 후순위채와 신종자본증권 등 보완자본을 확보해 자본 여력을 키웠다.
자본성 증권을 통한 킥스 제고는 보험사의 이자 비용 부담이 커질뿐더러 부채성 자본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금융당국은 보험사 자본의 질적 개선을 주문하면서 손실 흡수력이 뛰어난 기본자본 킥스 도입을 예고했다.
보험사들은 기본자본을 확충하고 있다. DB손해보험은 업계 처음으로 스텝업 조항이 없는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고, 푸본현대생명은 대규모 유상증자를 앞두고 있다. (금융부 이수용 기자)
(서울=연합인포맥스)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7시 3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