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정원 기자 =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는 금리 추가 인하를 지지한다면서도 연준이 상충하는 경제 신호 사이에서 조심스러울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10일(현지시간) 월러 이사는 CNBC의 스쿼크박스에 출연해 이같이 말했다.
월러 이사는 미국 고용시장은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전반적인 경기 둔화를 예고하는 것처럼 보이는 반면 경제성장률은 여전히 견조하고 인플레이션도 연준의 목표치의 2%를 훨씬 웃돌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고용시장이 반등해서 경제성장에 맞춰지든, 경제성장률이 낮아져서 (고용시장에) 맞춰지든 뭔가가 움직여야 한다"면서 "둘 중 어느 방향으로 가든 정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월러 이사는 금리 인하 쪽으로 나아가고 싶지만, 큰 실수를 저지를 경우를 대비하여 공격적이거나 빠르게 인하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는 2024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금리가 인하됐다. 점도표는 올해 남은 기간까지 금리가 두차례 추가 인하될 것을 시사했다.
월러 이사는 이러한 금리 인하 속도에 대해 만족한다면서도 연준이 이보다 더 빠르게 금리를 인하해서는 안 된다고도 주장했다. 스티븐 마이런 이사는 9월 FOMC회의에서 빅컷(50bp 인하)과 함께 올해 연말까지 1.25%p 추가 인하를 주장한 바 있다.
월러 이사는 "데이터에 맞춰 언제든지 조정할 수 있다"면서 "당장 내일 75bp 낮추는 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경제와 관련해서도 월러 이사는 신중한 견해를 내놨다.
고용시장은 지난 몇 달간 일자리가 사라졌을 것으로 분석했으며 인플레이션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영향이 일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월러 이사는 차기 연준 의장 후보자 5명 중 한 명으로 최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
이 인터뷰에 대해 월러 이사는 "훌륭한 인터뷰였다, 연준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많은 논의를 하면서 나의 의견을 밝혔으며 정치적인 것은 없었고 진지한 경제 토론이었다"고 말했다.
jwyoon2@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