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스탠포드대학 HAI 연구소 산합협력 서약식
[출처: 두산]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은별 기자 = 두산그룹이 '피지컬 AI' 분야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업계 '구루'급 인재를 수장으로 영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두산은 그룹 지주 부문 내에 피지컬 AI 전담 조직인 'PAI Lab(PAI 랩)'을 신설했다고 13일 발표했다.

해당 조직은 로봇, 건설기계, 발전기기 등 두산의 주요 사업군에 AI 기술을 접목하기 위한 장기 로드맵 수립, 선행기술 개발, 관련 기업과의 협업·투자 등을 총괄한다.

피지컬 AI는 실제 기계나 로봇과 같은 실물 하드웨어에 적용돼, 다양한 작업환경 속에서 스스로 상황을 인지하고 판단 및 행동까지 수행하는 AI를 의미한다.

두산은 이번 조직 신설과 함께 스탠포드대 산하 'Human-Centered AI 연구소(HAI)'와 산학 협력 파트너십도 맺었다.

산학 협력 서약식에는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과 제임스 랜데이 HAI 공동연구소장 등이 참석했다.

HAI는 세계적인 AI 연구기관으로, 두산은 HAI와 협력하는 첫 산업재 기업이 됐다. 양측은 협력·연구, 인재 교류 등을 통해 피지컬 AI 기술 확보에 나설 예정이다.

아울러 두산은 관련 글로벌 스타트업과의 협력·투자도 확대한다.

두산로보틱스, 두산밥캣 등 각 계열사는 현재 관련 스타트업 및 전문기업에 대한 투자와 협업을 이어가고 있는데, PAI 랩은 장기적 기술우위 확보를 목표로 선행기술 스타트업 발굴과 전략적 투자를 그룹 차원에서 통합 지원하게 된다.

두산 관계자는 "글로벌 AI 학계·업계의 '구루'급 인재를 PAI 랩 수장으로 영입할 계획"이라며 "그룹 차원의 유기적 협업을 통해 피지컬 AI 시장 선점은 물론, 향후 새로운 사업 모델과 포트폴리오 확장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ebyun@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3시 3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