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KDB생명이 "회계상 측면이지, 실질적으로 고객에게 지급해야 할 보험금을 지급할 수 없다는 의미가 전혀 아니다"라고 19일 밝혔다.
KDB생명의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부채는 17조9천889억원으로 자산 17조8천541억원을 넘어섰다. 자본총계는 마이너스(-) 1천348억원으로 자본잠식 상태다.
KDB생명은 새 회계제도 IFRS17 제도 도입 이후 보험계약을 시가로 평가하고, 시장금리 하락 및 감독당국의 보험부채평가 할인율 추가 인하 조치 등의 외부 요인에 따라 평가손실이 자본에 반영되면서 자본잠식으로 집계됐다고 설명했다.
이는 실제 보험금 지급여력이나 현금 유동성 부족과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실제로 KDB생명의 지급여력비율(K-ICS)은 작년 말 기준 158.2%(경과조치 후)로 올해 1분기 말도 감독당국의 권고치인 150%(경과조치 후)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KDB생명은 올해 3월 한국산업은행의 자회사로 편입됐으며 현재 상황을 조속히 해결하고자 금융당국 및 대주주인 한국산업은행과 긴밀하게 논의 중이다.
KDB생명 관계자는 "보험시장을 둘러싼 녹록지 않은 대내·외 환경을 이겨내고, 지속성장을 위한 기반 마련과 내실 있는 성장을 위해 상품 포트폴리오와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해 견고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yglee2@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