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민재 기자 = 22일 일본 증시는 약세로 마감했다.
연합인포맥스 세계주가지수(6511)에 따르면 닛케이225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13.11포인트(0.84%) 내린 36,985.87에 거래를 마쳤다.
토픽스 지수는 15.79포인트(0.58%) 하락한 2,717.09로 최종 집계됐다.
간밤 뉴욕 증시에서 3대 주가지수들이 모두 약세를 보인 데 연동해 닛케이 지수도 갭 하락 출발했다.
닛케이 지수는 장 초반 약세를 되돌려 37,000대를 한때 회복했지만 이내 낙폭을 다시 키웠다.
엔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수출주 위주로 매도세가 유입됐다.
미일 재무장관 회담에서 환율 수준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고 전해지면서 달러-엔은 아침 일찍 급등했지만 이후 반락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주가 내렸고 의약품주가 올랐다.
마넥스증권의 히로키 다카시 수석 전략가는 "미국 측이 엔저 시정을 요구해 온다는 우려는 뿌리 깊다"며 "일본 주식에 짐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지표는 부진했다. 5월 일본의 제조업 경제는 미국발 관세 여파 속에서 1년 가까이 위축세를 이어갔다.
S&P글로벌은 일본 5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가 49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지수가 기준선인 50에 못 미치며 위축세를 지속했다.
아울러 이날은 일본 국채 금리가 전반적으로 급등한 가운데, 재정 건전성 문제가 커진 점도 투자심리를 훼손했다고 분석된다.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는 장 마감 무렵 4.87bp 급등한 1.5695%에 거래됐다. 초장기인 30년물 금리는 장 마감 직전 추가 튀어 올라 2.77bp 오른 3.1705%를 기록했다. 2년물 금리는 0.99bp 뛴 0.7319%를 가리켰다.
특히 일본 국채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유출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본 재무성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주 1조7천억 엔(약 16조3천800억 원)의 일본 국채를 매도했다. 특히 장기물 채권은 3주 연속 순유출됐다.
한편, 증시 마감 당시 달러-엔 환율은 뉴욕 비 0.30% 하락한 143.211엔을 나타냈다.

mjlee@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