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기업거버넌스네트워크 포럼…"韓신정부 정책 고무적"

국민연금, 경영진 보상 투명성 강조…"주주가치 제고에 즉각적"

(서울=연합인포맥스) 노요빈 기자 = 최근 상법 개정을 통한 주주가치 보호 등을 공약한 이재명 정부를 향한 기업 거버넌스 개선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 기업 지배구조 특성상 최대주주가 경영진을 맡는 경우가 많아 이들에 대한 보상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24일 한국거래소는 본사 컨퍼런스홀에서 국제기업거버넌스네트워크(ICGN)와 '가치창출의 원동력으로서의 거버넌스 개혁' 포럼을 공동 주최했다.

젠 시슨 ICGN CEO는 인사말을 통해 한국 자본시장은 신정부 출범을 계기로 기업 거버넌스 개선 기대감이 높아지는 시기를 맞았다고 평가했다.

시슨 CEO은 "한국은 지금 매우 흥미로운 시기"라며 "새 정부가 거버넌스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신탁 의무와 소액주주 보호를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 고무되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시장 잠재력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정책 입안자 및 규제 당국 간 참여를 강화해나갈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국제기업거버넌스네트워크(ICGN)의 '가치창출의 원동력으로서의 거버넌스 개혁' 포럼

이날 포럼에는 국민연금과 자산운용사가 참여해 구체적인 거버넌스 개선 방안에 대한 토론을 진행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기업은 경영진이 동시에 최대주주를 맡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 주목했다. 경영진에 대한 보상 체계나 배당 정책에 대한 투명한 정보 공개 및 결정 방안이 거버넌스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진단했다.

이동섭 국민연금 수탁자책임실장은 "우리나라 기업은 임원진 보상 체계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는다"며 "누가 어떻게 무엇을 잘해서 보상받는지 알 수 없는 건 큰 잘못이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기업의 지배주주가 경영진인 경우가 많다"며 "(이 경우) 경영진이 지배주주 이익만을 대변하는 상황이 계속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실장은 영미권에 도입된 'Say on Pay(세이 온 페이)' 제도를 국내에 도입해 전체 주주를 위해 경영진과 이사회가 작동하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창환 얼라인파트너스 CEO도 "경영진의 인센티브와 보상을 주주 이익에 맞추는 것은 거버넌스 측면에서 많은 기회를 창출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렇게 되면 기업이 가치를 (주주 이익 외에) 다른 방식으로 추출하는 게 매우 어려워질 것"이라며 "불필요하고 지루한 지배주주와 주주 간 이해관계 충돌을 피하고, 이를 서로 일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치창출의 원동력으로서의 거버넌스 개혁' 패널토론

ybnoh@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3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