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시윤 기자 = 캐나다 정부가 자국 내외 기술기업에 부과할 예정이었던 디지털 서비스세(DST)를 전격 철회하기로 했다.

29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캐나다는 미국과의 포괄적인 통상 협정을 위한 협상 재개를 기대하며 디지털세를 철회한다고 발표했다. 당초 디지털세 첫 납부일은 6월 30일로 예정돼 있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의 모든 무역 협상을 종료하겠다"고 선언한 데 따른 조치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주말 사이 "모든 캐나다와의 무역 협상을 종료한다"고 밝히며, 캐나다 정부의 디지털세 부과 방침에 강력히 반발한 바 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성명을 통해 "이번 결정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설정된 7월 21일 협상 시한에 맞춰 협상 재개를 위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디지털세는 2022년까지 소급 적용되며, 아마존·구글·메타 등 미국 대형 기술기업을 포함한 국내외 기업에 3% 세율로 부과될 예정이었다.

당초 캐나다는 미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과세 강행 방침을 고수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미국의 강경 조치가 현실화되자 하루 전날 돌연 철회로 선회한 셈이다.

프랑수아-필립 샹파뉴 캐나다 재무장관은 "이번 철회는 미국과의 새로운 경제 및 안보 관계 구축을 위한 협상에 진전을 가져올 것"이라며, "캐나다 국민 모두를 위한 일자리와 번영 창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재무부는 "합의 도달까지 필요한 시간은 충분히 사용하되, 더 오래 끌지는 않을 것"이라며 협상 속도 조절 의지를 내비쳤다.

미국은 캐나다의 디지털세가 미국 기업을 겨냥한 차별적인 조치라고 비판하고 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무역대표부(USTR)가 무역법 301조에 따른 조사를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무역법 301조는 불공정 무역 관행에 대해 미국이 보복할 수 있는 법적 근거로 USTR이 특정 국가의 불공정 관행을 조사한다.

베센트 장관은 "유럽연합(EU)의 일부 국가들도 디지털세를 시행 중이지만 소급 적용은 없다"며 캐나다의 조치는 "형평성에 명백히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syyoon@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3시 3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