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현대차 사옥 1~2층에 조성

"누구나 UX 연구 참여 가능한 오픈 공간으로 확장"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수인 기자 =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일반 고객도 차량 사용자 경험(UX) 연구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연구 공간을 처음으로 마련했다.

현대차[005380]·기아[000270]는 오는 3일부터 강남구 역삼동 현대차 사옥 1~2층에서 'UX 스튜디오 서울'을 공식 운영한다고 2일 밝혔다. 2021년 서초에서 운영하던 기존 공간을 이전·확장했다.

UX 스튜디오 서울에서는 고객들의 다양한 시선·행동 데이터들을 활용해 향후 차량 개발에 직접 반영한다.

현대차·기아 'UX 스튜디오 서울' 1층 오픈 랩 공간
[출처: 현대차그룹]

1층 '오픈 랩(Open Lab)'은 일반 고객들이 자유롭게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됐다.

UX테스트존에서는 다섯 가지 사용자 유형(퍼소나)에 맞춘 차량 UX를 체험한다. '스터디 벅'과 '검증 벅'에서 도어, 시트, 이동 콘솔 등 UX 콘셉트를 확인하고 직접 운전해보는 등 UX 콘셉트의 구현, 검증 과정을 순차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SDV존에서는 지난 3월 개발자 컨퍼런스 'Pleos(플레오스) 25'에서 처음으로 공개된 전기·전자(E&E) 아키텍처와 맥락 인식 기반 음성 어시스턴트 'Gleo AI(글레오 에이아이)'를 선보인다.

현대차·기아 'UX 스튜디오 서울' 2층 시뮬레이션 룸
[출처: 현대차그룹]

2층 어드밴스드 리서치 랩에서는 UX연구원들이 개발해 도출한 UX 콘셉트를 시뮬레이션 룸 속 가상 환경에서 검증해볼 수 있다.

시뮬레이션 룸에서는 준중형 세단부터 대형 SUV로 차량 유형을 바꿔가며 주행을 체험할 수 있다.

6축 모션과 시야각 191도의 대형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실제 운전하는 듯한 환경을 연출한다.

서울, 샌프란시스코, 델리 등 세계 각국 도시의 도로와 고성능 차량 테스트를 위한 글로벌 레이싱 서킷도 가상 환경으로 구현됐다.

주행 중 수집된 운전자의 시선·행동 데이터는 향후 UX 연구에 활용된다.

해당 2층 공간은 사전 모집 고객과 현대차·기아 연구진에 한해 개방될 예정이다.

김효린 현대차 AVP본부 피쳐전략실 상무는 "방문 고객이면 누구나 (UX 연구 과정을) 체험하고 개발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오픈된 공간으로 확장했다"면서 "사용자들의 목소리에 더욱 집중하기 위해 이곳(UX 스튜디오 서울)에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sijung@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3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