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오진우 기자 =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지식서비스 무역수지 적자 규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기업들의 연구개발(R&D) 수요가 증가한 영향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식서비스 무역통계'를 보면 올해 상반기 지식서비스 무역적자는 45억3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하반기의 37억6천만 달러보다 적자 규모가 7억7천만 달러 늘었다.

한국은행

상반기 수출은 197억1천만 달러, 수입은 242억2천만 달러였다.

수출 규모는 지난해 하반기 185억 달러보다 확대됐지만, 수입이 더 큰 규모로 늘어났다.

수입이 확대되면서 적자 규모를 키운 주요 요인은 우리 기업의 R&D 수요와 앱스토어를 통한 앱 구매 및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구독 확대 등이 꼽힌다.

상반기 전문사업서비스 부문의 적자는 44억8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 중 R&D 관련 적자가 30억 달러였다.

한은은 "우리나라 제조업체의 해외 기업에 대한 전문 R&D 발주가 늘면서 적자 폭이 확대됐다"고 풀이했다.

컴퓨터 및 모바일 소프트웨어(SW) 부문 적자는 지난해 하반기 6억1천만 달러에서 올해 상반기 10억7천만 달러로 확대됐다.

외국 앱 및 OTT 구독 수요 증가 등의 이유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반면 정보와 통신서비스 부문은 19억6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반기 기준 사상 최대 흑자다.

우리나라 생산 스마트폰에 대한 앱 탑재 서비스 수출이 확대된 영향으로 분석됐다.

음악과 게임, 만화 등 대표적인 K콘텐츠 산업의 흑자 흐름도 이어졌다.

음악 산업은 상반기 5억9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게임은 22억6천만 달러 흑자였다. 만화 산업도 1억달러 흑자를 달성했다.

한편 지역별로는 아시아에서 35억7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반면 북미에서는 37억7천만 달러 적자를 나타냈다. 유럽에서도 21억8천만 달러 적자에 머물렀다.

jwoh@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