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민재 기자 = 엔비디아(NAS:NVDA)가 인공지능(AI) 칩에 킬스위치나 백도어 등은 없다며, 중국 측이 제기한 보안 문제를 재차 일축했다.

엔비디아의 최고보안책임자(CSO)인 데이비드 레버는 5일(현지시간) 자사 블로그에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에는 킬스위치나 백도어가 없으며, 있어서도 안 된다"고 적었다.

레버는 "비밀 백도어는 단순히 관리들뿐만 아니라 해커들도 사용할 수 있는 위험한 취약점"이라며 "사이버보안의 근본 원칙을 위반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엔비디아 GPU와 같은 제품에 킬스위치나 백도어가 설치된다면 미국의 국가 보안 이익을 해칠 것"이라고 밝혔다.

레버는 또 "칩에 킬스위치를 직접 연결하는 것은 완전히 문제"라며 "사용자 통제를 벗어나는 영구적 결함이고, 재앙으로 향하는 문을 활짝 열어주는 셈"이라고 썼다.

그는 이어 "당신이 운전하면 안 된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대비해 딜러가 주차브레이크용 리모컨을 보관하는 차를 사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부연했다.

해당 블로그 포스트는 앞서 중국 당국이 엔비디아의 제품 'H20'의 보안 문제를 지적하며 구두 경고를 한 이후 나온 반박 성격의 글이다.

지난달 31일 중국 사이버공간관리국(CAC)은 엔비디아를 '웨탄(約談)'하며, 중국에 판매되는 H20 제품의 안전성을 설명하라는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이에 엔비디아 측은 "사이버보안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엔비디아 칩에는 다른 이에게 원격 접근이나 조정할 수 있는 백도어가 없다"고 즉각 반박했다.

mjlee@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연합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6시 5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키워드

#AI뉴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