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협상을 계기로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새로운 수출 시장 개척에 주력한다. 관세 협상의 여파로 피해가 예상되는 기업에는 수출 바우처 등 지원책을 마련한다.

정부는 22일 발표한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을 통해 "보호무역주의 등 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 경제 안보를 강화하겠다"며 "한-미 제조 얼라이언스(협력)와 관세 피해기업 지원, 신대외경제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미 제조업 협력에는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를 중심에 뒀다. 대미 수출이 제로(0)였던 조선 분야에 새 시장을 연다는 목표다.

여기에 원자력 발전과 인공지능(AI) 등이 함께한다. 관세 협상에서 우리가 내건 조건인 3천500억달러 규모의 대미금융 패키지 지원도 활용한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25일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을 한다. 이 자리에서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의 구체적인 모습이 일부 나타날 수 있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으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기업에 대한 대책도 마련했다. 우리 기업 다수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관세를 거의 내지 않다가 상호관세를 맞닥뜨린 처지다. 철강·알루미늄 부문에는 50%의 관세가 발효됐다.

정부는 관세부과에 따른 주요 업종별 영향을 분석해 피해기업 지원, 수출 바우처 확대 등 지원대책을 내달 공개할 방침이다.

미국 시장을 놓지 않으면서 수출 불모지에도 계속 문을 두드린다. 정부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을 비롯해 중앙아시아, 인도, 중동, 오세아니아까지 글로벌사우스와의 권역별 협력을 강화한다고 명시했다. 기업들의 진출을 돕고자 개발금융 추진체계를 구축한다.

정부는 "수출 대체 시장 확보와 AI 선도국 협력 강화 등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 역량·자원을 총집중하겠다"고 전했다.

국내로 유턴하는 기업도 살핀다. 보조금 국비교부율을 높이고 임대료 산정 특례·감면도 늘린다. 멕시코와 베트남 등을 직접 방문해 첨단·공급망 주요 기업의 국내 복귀를 유도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코트라 등으로 구성된 유턴기업협의체가 현장 애로와 제도개선 건의를 듣는다.

마스가(MASGA) 모자
[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jhlee2@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4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