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동기比 0.6% 성장…속보치보다 0.1%p↑

(서울=연합인포맥스) 오진우 기자 = 우리나라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잠정치가 전분기대비 0.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건설투자가 당초 측정보다는 양호해 속보치보다 성장률이 상향 조정됐다.

한국은행은 3일 '2025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 자료에서 2분기 실질 GDP가 전기대비 0.7%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 7월에 발표한 속보치보다 0.1%p 상향 조정됐다. 2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1.2%에 이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분기 GDP는 전년동기 기준으로는 0.6% 성장했다. 마찬가지로 속보치보다 0.1%p 상향 조정됐다.

2분기 부분별 전기비 성장률은 앞서 발표된 속보치와 비교하면 건설투자(+0.4%p)와 지식재산생산물투자(+1.1%p), 수출(+0.4%p) 등이 상향 수정됐다. 반면 설비투자(-0.6%p)는 하향 조정됐다.

전기 대비 성장률을 지출 항목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승용차 등 재화와 의료 등 서비스 소비가 모두 늘어 0.5%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을 중심으로 1.2% 성장했다.

건설투자는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1.2%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선박 등 운송장비와 기계류(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가 줄어 2.1% 감소했다.

수출은 반도체와 석유·화학제품 등이 늘어 4.5% 증가했다. 수입은 에너지류를 중심으로 4.2% 늘었다.

한국은행

2분기 성장률을 경제활동별로 보면 제조업은 컴퓨터와 전자 및 광학기기, 운송장비 등이 늘어 전기대비 2.5% 성장했다.

건설업은 건물 및 토목 건설이 줄어 3.6%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정보통신업 등이 줄었으나,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과 운수업 등이 늘어 0.8% 증가했다.

2분기 성장률에 대한 내수의 성장기여도는 0.4%p로 집계됐다. 순수출 기여도는 0.3%p였다.

2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대비 1.0% 증가했다.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1분기 13조원에서 10조2천억원으로 줄었지만, 교역조건 개선으로 실질무역손실이 축소되면서 실질 GDP 증가율을 상회했다.

2분기 실질 GNI는 전년동기비 대비로는 2.2% 증가했다.

2분기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동기대비 2.8% 상승했다.

2분기 총저축률은 35.6%로 직전분기보다 0.7%p 높아졌다.

jwoh@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연합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8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