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변명섭 기자 =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030년까지 인공지능(AI) 발전의 토대가 되는 그래픽처리장치(GPU)를 20만장까지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배 장관은 9일 열린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선정된 네이버클라우드 등 5개 팀 착수식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애초 2028년까지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장 계획을 수립했고 과기부 내부적으로는 2030년까지 민관 협력을 통해 20만장 확보해보자고 했다"고 전했다.
이어 "이 정도의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며 "각 팀도 원대한 목표를 가지고 도전해주고 그 성과를 만들어서 그 결과물을 모든 국민이 쓸 수 있게 하자"고 강조했다.
배 장관은 "대한민국의 AI 강국 도약을 위한 사명감을 갖고 글로벌 파급력 있는 AI 모델 개발을 목표로 정예팀이 하나가 돼 역량을 집중하기 바란다"고 설명했다.
과기부는 세계적인 수준의 독자 인공지능(AI) 모델을 확보하기 위해 이번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과기부는 지난달 4일 네이버[035420]클라우드, SK텔레콤[017670], 업스테이지, NC AI,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 등 5곳을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정예팀으로 최종 선정했다.
최종 선발된 이들 5개 팀은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데이터, 인건비 등 총 2천억원 규모의 정부 지원을 받는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국가대표 AI 정예팀으로서 AI 주권 확립이라는 무거운 사명감을 갖는다"며 "대한민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가장 잘 이해하는 AI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그동안 글로벌에서 인정받은 기술력과 실행력을 바탕으로 글로벌에서 한국 AI 기술 주도권을 반드시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국가대표 AI 기업이라는 사명감으로 국민 일상 속 AI를 위한 최고 수준의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겠다"고 전했다.
이날 착수식에는 K-AI 엠블럼 수여도 진행됐다.

msbyu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