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기자 = 이재명 정부가 인공지능(AI)·반도체 등 미래 전략산업 집중 투자를 위해 150조원 규모 국민성장펀드를 조성하는 등 AI 분야 투자 붐이 일 것으로 예상되면서, 연기금 및 공제회에서도 추세를 따라가고 있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우정사업본부는 전일 국내 블라인드 사모펀드(PEF)에 총 2천500억원 이내로 출자하겠다고 공지했다.
경영권인수(바이아웃) 및 성장금융(그로스 캐피탈) 전략을 구사하는 PEF가 대상이다.
이를 위해 중형 및 소형리그 운용사를 총 7개사 내외로 선정할 예정이다. 펀드 결성 규모 기준으로 2천500억원을 초과하면 중형, 1천억에서 2천500억원 사이면 소형으로 분류된다. 운용사별 약정 규모는 리그별·순위별로 차등해서 배분할 예정이다.
특징은 AI 관련 산업 분야에 우체국금융(우체국예금·보험) 약정액의 40% 이상을 투자하겠다고 못 박은 점이다. 최소 1천억원 이상이 AI 관련 산업에 투입되는 것이다. 중소·중견기업에 절반 이상을 투자하겠다고도 했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 직후부터 미래 전략 산업 육성 의지를 드러내면서 AI 투자 열풍이 예상되고 있다. 전일에는 국민성장펀드 조성 규모를 당초 계획보다 50억원 증액한 150억원으로 발표했다.
국민성장펀드는 향후 5년간 첨단전략산업(인공지능, 반도체, 바이오, 백신, 로봇, 수소,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미래차, 방산 등)과 관련 기업(관련 기술 및 인프라, 구매상대방 등)을 지원한다.
우본뿐만 아니라 국내 연기금과 공제회 업계에서는 정부 정책의 방향성을 따라 출자사업을 집행하는 분위기가 포착된다. 정부의 벤처 활성화 및 모험자본 확대 주문에 맞춰 벤처캐피탈(VC) 출자액을 늘리는 추세다.
과학기술인공제회는 PE·VC 출자 금액을 지난해 2천600억원 수준에서 올해 3천억원 규모로 증액할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중앙회(노란우산공제)는 올해 VC 출자금을 지난해 1천100억원보다 700억원 늘린 1천800억원으로 정했다.
군인공제회는 지난달 PE·VC 분야에 각각 3천400억원과 1천400억원 등 총 4천800억원을 출자한다고 공지했다. 지난해보다 각각 700억원과 200억원 늘었다.
6년 만에 국내 PE 블라인드 출자 사업에 나선 행정공제회는 총 2천억원 규모로 바이아웃 및 그로스 전략 PE에 투자한다.
공제회 한 관계자는 "정부가 모험자본을 늘리기로 한 만큼 기조를 따라가는 차원"이라며 "그동안 힘들었던 VC 업계의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말했다.

hrsong@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