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DC·부동산' 등 주요 그룹사 성장 지속
(서울=연합인포맥스) 최정우 기자 = KT[030200]는 클라우드와 데이터센터(DC), 부동산 등 주요 그룹사 중심의 성장이 지속하며 3분기 호실적을 기록했다.
지난 9월 불거진 무단 소액결제 사태에 따른 영향이 아직 반영되지 않으면서 견조한 실적을 이어갔다.
KT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5천382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6%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발표했다.
매출액은 7조1천267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7.1% 증가했고, 순이익은 4천453억원으로 16.2% 늘었다.
KT의 3분기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다.
연합인포맥스가 최근 1개월간 발표한 국내 주요 증권사 10곳의 전망치를 종합한 결과, KT의 연결 기준 3분기 매출액은 6조9천173억원, 영업이익은 5천6억원으로 각각 예측됐다.
사업별로 보면 무선 부문에서 무선 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다. 2025년 3분기 기준 5G 가입자는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80.7%를 차지했다.
유선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인터넷 사업 매출이 2.3% 늘었으며, 미디어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다.
기업서비스 매출은 저수익 사업의 합리화 영향이 이어졌으나, 기업메시징과 기업인터넷 등 요인으로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했다.
AI·IT 매출은 일부 사업의 구조개선과 DBO(설계·구축·운영) 사업의 기저효과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감소했다.
KT는 3분기부터 AI 멀티모델 전략의 모델 라인업을 본격적으로 출시하고 한국적 대규모언어모델(LLM)을 선보였다.
지난 7월에는 독자 개발 모델 '믿:음 K 2.0'을 공개했고, 9월에는 마이크로소프트 협력 기반의 'SOTA K(State of the Art)'와 메타 오픈소스를 활용한 'Llama K'를 순차적으로 출시했다.
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산업별 맞춤형 AX 로드맵을 컨설팅하는 'KT 이노베이션 허브(Innovation Hub)'를 개소했다.
이곳은 양사 AX 전문 인력이 협업해 B2B 고객이 AX 설루션을 직접 체험하고 컨설팅을 받을 수 있는 산업별 맞춤형 지원 거점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클라우드와 데이터센터, 부동산·미디어 등 주요 그룹사 중심의 성장도 지속했다.
KT클라우드는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사업 수주가 확대되고, 가산 AIDC 완공으로 신규 데이터센터가 확보되면서 안정적인 매출 흐름이 지속될 전망이다.
KT에스테이트는 오피스와 호텔 등 임대 부문이 고르게 확대되는 등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늘었다.
특히 호텔 부문은 숙박 수요 회복과 신규 호텔 개관 효과가 더해지며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콘텐츠 자회사는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편수 감소로 매출이 줄었다.
KT그룹은 앞으로도 엄선된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을 통해 품질과 화제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케이뱅크의 9월 말 기준 고객 수는 1천497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300만 명 늘었다.
수신 잔액은 전년 동기 대비 38.5% 증가한 30조4천억원, 여신 잔액은 10.3% 증가한 17조9천억원을 기록했다.
jwchoi2@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