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연말까지 향후 10년간의 자율운항선박 기술 개발 로드맵을 해양수산부와 협력하여 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안 장관은 29일 벡스코(BEXCO)에서 개최된 제1차 자율운항선박 정책위원회 회의를 맞아 "자율운항 선박은 인공지능(AI) 시대 미래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의 핵심"이라며 "기술개발-실증-상용화의 전 주기 지원을 위해 조선 3사, 기자재사, 전문가가 참여하는 자율운항선박 기술협의회를 가동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도 "자율운항 선박은 AI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해양 안전과 탄소 절감에 기여하는 해운 물류 산업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추진 중인 자율운항선박 기술 표준 제정에도 우리나라의 경험과 기술이 충분히 반영되도록 정부 차원에서 대응과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자율운항선박은 AI,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첨단 선박으로, 국제해사기구(IMO)는 2032년까지 자율운항선박 국제 표준을 제정할 계획이다.
자율운항선박 정책위원회는 올해부터 시행된 '자율운항선박법'에 따라 민·관·정이 해운과 조선 산업의 디지털 전략을 수립하는 심의·의결기구로 구성됐다.
공동위원장은 산업부 장관과 해수부 장관이 맡고, 기재부·과기부·행안부·중기부·해경청의 차관급 정부위원 5명, 전문 민간위원 6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된다.
제1차 정책위원회 회의에서는 정책위원회 운영 방안과 자율운항선박 R&D 정책방향, 법 시행에 따른 주요 업무 추진 방향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jhhan@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