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정부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고조된 상황에서도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업종 전반에서 투자 계획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열린 '제3차 산업정책 민관협의회'에서 반도체, 자동차 등 11개 주요 업종협회와 함께 올해 국내 설비투자 진척 현황 및 대미국 통상 대응 동향을 점검했다.
국내 투자현황 점검 결과, 지난 2월에 집계된 올해 119조원의 투자계획은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업종 전반에서 정상 이행 중인 상황인 것으로 파악됐다.
업계는 당면한 위기 극복과 미래 경쟁력 확보의 핵심 수단이 투자라는 점에 공감했다. 안정적인 투자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대기업도 세제 지원, 첨단전략산업기금 등을 통한 신속한 금융 지원, 지역투자보조금 확대 등 보조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글로벌 통상 환경 불확실성 국면에서 산업부와 업계는 대외 정책변화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긴밀히 소통하며 대응 방안을 모색해 나가고 있다고 부연했다. 반도체와 바이오는 의견서를 통해 미국이 신뢰할 수 있는 공급망 파트너인 한국에 대한 특별한 고려를 요청했다. 조선은 민관이 합심해 한미간의 협력 확대 방안을 마련 중이다. 협회들은 앞으로도 우리 기업들의 대미 활동에 우호적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와 공동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투자계획의 차질 없는 이행을 통한 미래 경쟁력 확보는 선택이 아닌 생존전략"이라며 "우리 기업에 매력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는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글로벌 관세 전쟁 등으로 심화하는 대외 불확실성 요인을 슬기롭게 헤쳐 나갈 수 있도록 협의회를 통해 꾸준히 소통하며 협력하자"고 당부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