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시윤 이민재 기자 = 미국 백악관 관계자는 이미 15% 이상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는 일본산 수입품에 15%의 '상호 관세'가 추가로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7일(현지시간)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익명을 조건으로 발언한 이 관계자는 "일본에는 특별대우가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최근 체결된 미일 간 양자 무역 합의에 대한 일본 측 설명과 다른 내용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국가별 관세 조치가 발효되기 몇 시간 전에 나온 내용이다.

지난달 22일 미국과 무역 합의에 도달한 이후, 일본 정부 관계자들은 예컨대 일본산 소고기 수입에는 기존과 같이 26.4%의 세율이 유지되며, 추가로 15%가 더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해왔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주 서명한 행정명령을 포함한 미국 공식 문서에는, 유럽연합(EU)에 대해서만 '관세 중복 금지(no stacking)' 조건이 명시됐고 일본에 대해서는 해당 조항이 없다.

EU는 일본보다 며칠 뒤 유사한 무역합의를 미국과 체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일본의 야당 의원들은, 양국 간 해석 차이로 인한 리스크를 최소화하지 못했다며 일본 정부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특히 서면 합의 없이 구두 약속에 의존한 점이 문제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일본 측 관세 담당 각료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지난 5일 미국 워싱턴에 도착해, 미국이 합의한 조건을 이행하도록 협상에 나섰다.

6일에는 하워드 루트닉 미 상무장관과 회담을 갖고, 일본산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관세 인하 약속을 조속히 실행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일본 정부는 전했다.

앞서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지난달 22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일본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인하한다는 약속을 끌어낸 바 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이 미국 내 대규모 투자를 약속한 대가로 자동차 관세도 15%로 인하하는 데 동의했으나, 자동차 관세 인하의 실제 적용 시점은 아직 불투명하다고 매체는 전했다.

syyo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연합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7시 2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키워드

#AI뉴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