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3.73%, 서북권 2.9% 올라 상승 주도

(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 지수가 4년5개월만에 최대폭 상승했다.

정부의 6·27 대출 규제 직전 기간, 강남 3구가 있는 서울의 동남권이 아파트 시장의 상승 거래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공동주택 실거래가지수에 따르면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전월 대비 2.51%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월 1.23%의 2배 수준이며, 2021년 1월 3.17% 이후 4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다.

실거래가지수는 실제 거래된 실거래가격을 동일 단지, 동일 주택형의 이전 거래 가격과 비교해 지수화한 것이다.

권역별로는 강남3구와 강동구가 있는 동남권의 실거래가지수가 3.73% 오르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2020년 7월(4.66%) 이후 4년 11개월 만에 최대 상승이었다.

또 마포·서대문구 등이 있는 서북권이 2.90%, 영등포·양천·동작구 등이 있는 서남권이 2.37% 상승했다.

종로·용산구 등이 있는 도심권은 2.05%, 노원·도봉·강북구 등이 있는 동북권은 1.75% 올랐다.

지난 6월 인천과 경기도의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도 각각 0.30%, 1.34% 뛰면서 수도권 전체 실거래가지수는 전월(0.66%)보다 높은 1.67% 올랐다.

지방 아파트도 0.47% 오르면서 전국 실거래가지수는 1.14% 상승했다. 이는 2021년 9월(1.93%)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이다.

다만 6·27 대출 규제 발표 이후인 7월부터는 상승폭이 둔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달까지 실거래가 신고분으로 집계한 7월 잠정지수는 서울이 0.53%로 상승폭이 감소하고, 수도권은 0.02%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전국은 0.03%, 지방은 0.11% 상승할 것으로 산정됐다.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출처 : 연합뉴스 자료사진]

jhha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2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