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불균형 재확대 가능성…거시건전성 정책 강화 기조 유지"
"美 관세정책에 금융·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업황 부진 기업 부실 증가로 익스포저 큰 기관 건전성 저하 우려"
(서울=연합인포맥스) 손지현 기자 = 신성환 금융통화위원은 금융여건 완화 과정에서 금융 불균형이 다시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당분간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위원은 25일 한은이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의 주관위원 의견문에서 "앞으로의 금융안정 상황은 국내외 경제여건의 불확실성, 실물부문 성장세 및 부동산 시장 상황 등에 주로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신 위원은 최근 서울 집값 상승 기대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 주목했다.
신 위원은 "가계부채 증가세는 정부 대책 등에 힘입어 다소 진정되는 모습이지만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 기대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며 "긴밀한 정책공조를 통해서 대응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 관세정책 영향,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등 대내외 요인 변화에 따라 금융·외환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신 위원은 "관련한 모니터링과 금융기관의 연말 유동성 관리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더해 건설 및 지방부동산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부실이 확대될 우려가 있는 만큼, 금융기관의 건전성 관리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위원은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취약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부실이 확대·장기화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며 "경기적·구조적 업황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업종의 기업 부실 증가로 관련 익스포저가 큰 금융기관의 건전성이 저하될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최근 정부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구조조정이 진전을 보이고 금융기관의 부실채권 정리 노력을 강화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신 위원은 "다만 일부 비은행 금융기관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jhson1@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