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3천500억달러 규모의 대미투자와 관련, "우리가 현금으로 낼 수 없다"며 미국 측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위 안보실장은 27일 오후 채널A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미 대통령이 3천500억달러 '선불' 지급을 언급하면서 협상 과정이 꼬이는 게 아니냐는 질문에 "저희가 밝힌 입장은 협상의 전술에 따라 그런 입장을 밝힌 게 아니라 객관적이고 현실적으로 우리가 감당할 수 없는 범위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건 대한민국의 누구라도 인정하는 사실"이라며 "여야를 떠나 누구라도 할 수 없기 때문에 대안을 가지고 얘기하려 하고, 대안을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가 하나의 목표점으로 생각할 수 있는 건 차기 정상회담 계기"라며 "APEC 때인데, 그때를 향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미국 순방에서 이 온라인카지노 추천이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을 직접 만난 데 대해서는 "이번에 만나 얘기를 했지만 협상에 진전이 있었던 건 아니"라며 "단지 우리 입장을 좀 더 명확하고 비중 있게 전달하는 자리였기 때문에 협상에 도움이 되리라고 기대한다"고 전했다.

첫 대북 구상으로 언급된 'E.N.D 이니셔티브'에 대해선 통일부의 제안이었다고 설명했다.

위 안보실장은 "E.N.D의 E는 교류고, N은 정상화고, D는 비핵화 이렇게 돼 있다"며 "사람들은 E.N.D 개념이 어디서 제안됐는지 궁금할 텐데, 사실은 이 제안은 통일부에서 나왔다"고 소개했다.

그는 "통일부 제안이 온라인카지노 추천실에 올라와서 저희가 그 틀을 그대로 받고 조금 수정을 가했다"며 "그런데 이게 E.N.D이다 보니까 국민들 중에서는 그 순서대로 하는 게 아니냐, E부터 하고 그다음에 N 하고 D, 즉 비핵화는 맨 나중이 아니냐는 의문을 가지실 수도 있겠지만, 글자를 쓰다 보니 그렇게 된 거지 사실은 순서나 우선순위가 있는 건 아니다"고 설명했다.

E.N.D 이니셔티브를 두고 야당 일각에서 비핵화 포기라고 비판한 데 대해서는 강하게 부인했다.

위 안보실장은 "비핵화 포기라는 건 절대 맞지 않는 말"이라며 "비핵화를 포기한 적도 없고, 포기할 생각도 한 적이 없다. 비핵화는 한국의 목표이고, 한·미·일 공조에서 언제나 나오는 공동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그는 "온라인카지노 추천께서도 지금 북한 핵 문제에 대해서는 아주 엄중한 위기 인식을 갖고 계시다"며 "온라인카지노 추천께서 자주 하시는 말씀이 이대로 가면 거의 매년 핵무기가 15~20개씩 늘어나지 않느냐. 이 상황을 방치할 수 있느냐다. 그래서 우선 급히 해야 할 일 중 하나가 중단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위 안보실장은 "그리고 중단이란 건 비핵화로 가는 과정"이라며 "출발점이자 과정이다. 궁극적으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 중단시키고, 축소시키고, 폐기한다는 것이지 비핵화 목표를 포기한다는 건 어디에도 없다"고 덧붙였다.

순방 직전 이 온라인카지노 추천이 '외국군 없이 자주 국방 못 한다는 것은 굴종적 사고'라고 언급한 데 대해선 "동맹은 여전히 중요하고 미국과의 공조도 여전히 중요하지만, 우리가 재래식 전력 부분에서 해야 할 도리에 대해선 더 많은 역할을 하겠다, 자신감을 갖고 그 길을 향해 나아가자, 자주 국방의 정도를 높이자 그런 취지로 하신 말씀"이라고 설면했다.

위 안보실장은 내달 열리는 APEC 정상회의를 기점으로 트럼프 온라인카지노 추천과 김정은 위원장이 만날 가능성에 대해선 "가능성이 있다고 말씀드리기보다는 아직은 그냥 상상의 영역에 있다고 해야 할 것 같다"며 "그렇게 될 개연성이나 조짐이 보이는 건 아직은 없다"고 말했다.

위성락 안보실장, 이 온라인카지노 추천 뉴욕 일정 브리핑
(뉴욕=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한 호텔의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유엔 총회 기조연설, 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9.24 xyz@yna.co.kr

jsjeong@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20시 4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